[해외에서 온 편지] 카자흐 정착 80년… ‘한민족의 얼’ 결코 잊지 않았다
수정 2017-05-02 17:45
입력 2017-04-30 18:36
전승민 주알마티 총영사

내가 처음 이들을 만난 것은 2015년 12월 29일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부임한 바로 다음날 고려인협회를 방문했을 때다. 연말이라 개인 일정이 있었을 텐데도 새로 온 총영사가 방문한다고 하니 고려인협회장, 고려문화중앙회장, 고려극장장, 고려일보 편집장 등 원로들이 사무실에 나와 환영해 줬다. 이러한 환영을 늘 고맙게 여기는데, 고려인 동포들도 내가 부임 후 첫 일정으로 자신들을 만난 것에 대해 볼 때마다 고맙다고 한다.
현재 구소련 지역의 고려인 동포는 48만명으로 추산되며 카자흐스탄에만 10만명가량이 거주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곳곳에 흩어져 살고 있는 이들을 만나 사연을 듣다 보면 어떤 이야기든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카자흐스탄 이주 후 삶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힘들었고, 둘째는 카자흐스탄 원주민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살아남을 수 없었으며, 셋째는 온몸을 바쳐 열심히 일했다는 것이다.

고려인 동포들은 이렇게 지난 80년 동안 갖은 고난 속에서도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며 현지 사회에 뿌리를 내렸다. 상·하원 의원은 물론 법조계, 경제계, 학계, 문화계 등 주류사회에 진출하며 영향력 있는 민족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내가 만난 알마티 시장, 주지사, 대학 총장 등 주요 인사들은 모두 고려인 동포의 근면성과 역량을 높이 평가했다.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주 3·4세대로 넘어가면서 많은 고려인 동포가 한국어를 잊어 가고 있는 사실은 아쉬운 부분이다. 언어는 정체성 유지와 직결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 고려인 동포 자신은 물론 우리 정부도 좀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3·4세들 한국어 교육에 정부 관심 가져야
고려인 동포는 현지의 법과 제도, 문화를 잘 알고 있고 또한 1992년 한·카자흐 수교 이후에는 대한민국의 발전상을 많이 경험했다. 고려인 동포들은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양국의 우호 협력을 더욱 증진시켜 나가는 데 있어서는 물론 앞으로 전개될 유라시아 협력시대에 훌륭한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2017-05-01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