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시절 공직 한 컷] 물렀거라! ‘컴통령’ 납신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7-04-30 19:31
입력 2017-04-30 18:36
이미지 확대
1971년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현 정부서울청사)에 중앙컴퓨터가 들어와 서일교(가운데) 총무처 장관이 새로 설치한 세종로 종합청사 중앙컴퓨터 가동실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의 전자정부는 컴퓨터를 처음 설치한 지 30여년 만에 유엔 전자정부 평가에서 3회 연속 세계 1위를 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으로 도약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챗봇’(채팅로봇)이 민원 서비스에 도입돼 여권 발권과 같은 비교적 정형화된 민원 상담을 24시간 하고 있다. 나날이 진화하는 한국의 전자정부는 조만간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 컨설턴트가 국민 개개인이 꼭 필요로 하는 복지 서비스를 알려 주는 수준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기록원 제공
1971년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현 정부서울청사)에 중앙컴퓨터가 들어와 서일교(가운데) 총무처 장관이 새로 설치한 세종로 종합청사 중앙컴퓨터 가동실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의 전자정부는 컴퓨터를 처음 설치한 지 30여년 만에 유엔 전자정부 평가에서 3회 연속 세계 1위를 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으로 도약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챗봇’(채팅로봇)이 민원 서비스에 도입돼 여권 발권과 같은 비교적 정형화된 민원 상담을 24시간 하고 있다. 나날이 진화하는 한국의 전자정부는 조만간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 컨설턴트가 국민 개개인이 꼭 필요로 하는 복지 서비스를 알려 주는 수준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기록원 제공
1971년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현 정부서울청사)에 중앙컴퓨터가 들어와 서일교(가운데) 총무처 장관이 새로 설치한 세종로 종합청사 중앙컴퓨터 가동실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의 전자정부는 컴퓨터를 처음 설치한 지 30여년 만에 유엔 전자정부 평가에서 3회 연속 세계 1위를 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으로 도약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챗봇’(채팅로봇)이 민원 서비스에 도입돼 여권 발권과 같은 비교적 정형화된 민원 상담을 24시간 하고 있다. 나날이 진화하는 한국의 전자정부는 조만간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 컨설턴트가 국민 개개인이 꼭 필요로 하는 복지 서비스를 알려 주는 수준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기록원 제공
2017-05-01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