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기자 마당] # 범죄자의 마음을 읽습니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성원 기자
수정 2017-06-18 17:34
입력 2017-06-18 17:24
“범죄 분석은 인간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일입니다.”

인천지방경찰청 수사과 이진숙(46·경사) 범죄분석관은 지난 4월 발행한 인천 동춘동 초등생 살인 사건 해결에 기여하는 등 2006년 경찰에 들어와 11년째 범죄 심리를 분석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진숙 인천지방경찰청 수사과 범죄분석관
이진숙 인천지방경찰청 수사과 범죄분석관
이 경사는 범인 A(17세·여)씨 검거 5일 만에 피해 아동의 일부 시신을 훼손해 공범에게 전달한 것에 대한 진술 등을 확보했다. 이 경사는 “범인들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커뮤니티에서 살인과 시신 유기 등 기괴한 행위를 묘사하고 역할 놀이를 하는 것을 즐겼다”면서 “현실에서 고립돼 자신들끼리 비틀린 정서를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이 경사는 2006년 경찰청 1기 프로파일러(범죄심리분석관)로 특채돼 그동안 300여명의 범죄 심리를 분석했다.

이 경사는 “범죄자도 자신의 마음을 다 알지는 못한다. 면담을 하면서 범죄자 스스로가 ‘내가 왜 죄를 지었는가’ 되짚어 보며 깨닫기도 한다”면서 “이런 도움이 심리학 전공자로서의 보람”이라고 말했다.

장광호 명예기자

(경찰청 범죄분석기획계장)
2017-06-19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