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판세 분석-서울시 기초단체장] 동작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5-29 01:51
입력 2014-05-29 00:00

현 구청장 중도사퇴로 판세 요동…60대 vs 40대 세대간의 맞대결

이번 선거에서 동작구는 여러모로 관심의 대상이다. 원래 후보만 6명이었다.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문충실 현 구청장이 새정치민주연합 공천에서 배제되며 선거판이 후끈 달아올랐다.
이미지 확대


각 당의 경선 과정도 뜨거웠다. 새누리당은 6배수 경선을 펼쳤다. 새정치민주연합은 4배수 경선이었으나 내부 의견 충돌로 후보 등록 마감 전날에서야 후보를 골랐다.

문 구청장의 행보에 선거판이 한바탕 요동을 쳤다. 공천 과정에서 컷오프돼 경선에 나서지 못하자 무소속 출마를 강행한 것. 야당 측으로서는 달갑잖은, 여당 측으로서는 반가운 상황. 문 구청장은 그러나, 투표일을 8일 앞두고 사퇴했다. 야권 분열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의 중도사퇴로 선거판은 지역 정치 60대 신인과 40대 신인의 양강 구도로 재편됐다.

두 후보 모두 2010년 첫 도전장을 던졌으나 본선에 오르지 못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금융인 출신 장성수 새누리당 후보는 4년 전 한나라당 예비후보로 뛰었다. 굳은 결심으로 잘 다니던 은행에 사표를 던진 지 불과 사흘 만에 당에서 동작구를 여성 전략 공천 지역으로 결정하는 통에 눈물을 삼켜야 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5년 동안 곁에서 보좌했던 청와대 행정관 출신 이창우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난번엔 여론 조사에서 1등을 했으나 당원 투표에서 문 구청장에게 역전을 당해 꿈을 잠시 미뤄야 했다.

이 밖에 정한식 전 동양대 겸임교수, 하금성 미창개발 대표, 정기철 나라사랑청소년포럼 이사장이 무소속으로 뛰어들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4-05-2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