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대화·관심으로 풀자/경기 안산상록경찰서 경비작전계장 최태수
수정 2014-05-29 14:17
입력 2014-04-19 00:00
실태조사에 따르면 학생 10명 중 2~3명이 학교에서 폭력을 경험했고, 학교폭력 후유증으로 등교 거부나 자살 충동 등 심각한 고통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학생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은 이뤄지지 않고, 가해 학생은 상담이나 봉사활동을 시키는 등 형식적인 운영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학교는 사회의 축소판이다. 성인 범죄가 늘면 청소년 범죄도 덩달아 늘 수밖에 없다. 아이들이 보고 자란 게 폭력과 범죄이고 보면 학교폭력은 사회악의 일부요, 선악의 관념이 제대로 서지 않은 ‘일그러진 영웅’들의 소영웅심리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학교폭력으로 극심한 고통과 자살 충동을 느끼면서도 주변엔 전혀 알려지지 않은 학생이 많다. 갈수록 다양해지는 학교폭력을 뿌리 뽑으려면 철저한 예방 교육과 피해 학생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 가해 학생에 대한 엄정한 조치가 요구된다.
이제는 방과 후 학교 운영이 활성화됨에 따라 주5일 수업제로 인해 정규수업이 아닌 취약시간대 학생들에 대한 안전망에 비상이 걸렸다. 아이들의 지나친 스트레스 해소 등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전문기관과의 연계가 선행돼야 하며 집단교육보다 개인별 맞춤형 교육이 돼야 한다. 적극적인 대화와 모두의 관심이 학교폭력 치유와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경기 안산상록경찰서 경비작전계장 최태수
2014-04-1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