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공항 건설 부지로 새만금지구 급부상
수정 2014-08-14 00:00
입력 2014-08-14 00:00
미군 ‘통제권’ 전제 조건부 찬성
이형규 전북도 정무부지사는 “공항건설 사업이 새만금마스터플랜(MP)에도 들어가 있고 미군도 새만금 내 공항예정 부지에 국제공항과 활주로를 건설하는 데 반대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특히 이 부지사는 “지난해 9월 군산시가 미 8전투비행단에 ‘군산공항 국제선 협조요청건’ 공문을 보낸 결과 미 공군도 새만금에 민영항로가 들어서는 데 대한 필요성을 공감했고, 군산공항 서쪽(새만금 일대)에 활주로를 추가 건설하는 방안을 놓고 세부사항을 논의할 용의가 있다는 내용의 회신을 보내왔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도는 새만금 한·중경협단지 조성과 연계해 새만금개발청과 전북권공항 건립을 위한 세부 협상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는 새만금공항이 국가 계획으로 조기 건설하는 데 장애가 없고 한·중경협단지가 조성되면 항공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정부 지원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계산이다.
공항을 건설할 경우 소음과 진동문제가 대두됐던 새만금 과학연구용지가 이번 개발계획 변경에서 산업용지로 합쳐져 걸림돌이 해소된 점도 새만금공항 건설에 힘이 실리는 내용이다.
그러나 새만금 지구 내 공항건설은 문제점이 적지 않아 회의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우선 주변지역이 고도제한지구에 묶여 개발 제한을 받게 된다. 공항부지를 중심으로 반경 4㎞ 이내는 45m의 고도제한을 받아 15층 높이의 건물 신축이 어렵다. 당장 60층 높이로 알려진 OCI의 열병합 발전소 굴뚝 건설이 타격을 받는다.
군산 미공군비행장 바로 옆에 자리한 이 부지에 대해 미군도 원론적으로는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지만,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면 걸림돌이 적지 않다. 미군은 공항 건설에 반대하지 않는 조건으로 활주로 사용과 관련해 5년마다 협의를 하도록 했다. 또 항공기 이착륙 시에도 군산공항 내 미군 관제탑의 지시를 받도록 했다. 활주로 사용과 운용에 대한 통제권을 미군에 넘겨줘야 하는 매우 불리한 조건이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4-08-1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