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는 드론’ 잡아라! 비상 꿈꾸는 지자체들
김병철 기자
수정 2015-08-19 01:49
입력 2015-08-19 00:16
시장 선점 위해 앞다퉈 육성 나서
자치단체들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급부상하는 드론(무인 항공기)산업 육성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연 10% 이상 고성장을 거듭하는 드론산업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조례 제정이나 특구, 집적 단지를 조성하고 각종 드론 행사를 주선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경기도의회는 드론산업 육성을 위해 도의회가 ‘경기도 무인 항공기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상임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조례안은 도지사가 드론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을 3년마다 수립하고 추진 실적을 1년마다 평가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 드론 산업 진흥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 시책을 추진할 수 있고, 드론의 저변 확대를 위해 행정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항공산업과 연계해 드론산업 시장을 경기도가 선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40만∼50만명이 찾는 경기항공전에 드론레이싱 대회를 축제 형식으로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부산시는 대한항공 테크센터와 40여개 협력사 등 기존의 항공 산업 기반을 활용해 드론산업을 키울 계획이다. 대구시는 2020년 6월까지 250억원을 들여 드론 집적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스마트 드론 컨트롤타워 센터 설립, 드론 비행테스트 공간 조성, 드론 개발 및 신뢰성 검증지원 장비구축, 스마트 드론 기체 및 서비스 개발지원, 스마트 드론 전문인력 양성 등이 주요 사업이다.
농업용 드론 개발에 주력하는 전북도는 전북대학연합기술지주회사와 국내 드론 제조회사인 헬셀이 공동 투자해 자회사인 ‘신드론’을 창업했다. 이 회사는 농약과 비료 살포, 제초작업 등을 할 수 있는 농업용 드론 개발에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충남도와 강원도는 드론산업 육성 정책의 하나로 드론축제, 드론 영상공모전, 드론 촬영대회 등 다양한 이벤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 드론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53억 달러(약 6조 1700억원)에 달하며, 2023년쯤 125억 달러의 거대시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원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춘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5-08-1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