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혁신도시에서는…] 투기성 자금 몰려 ‘임대료와의 전쟁’
조한종 기자
수정 2015-08-25 00:44
입력 2015-08-24 23:48
혁신도시 상가 분양가·임대료 전국 최고가 육박… 거품 논란
공공기관 입주가 시작된 혁신도시의 상가 분양가와 임대료가 전국 최고가에 육박, 거품 논란이 일고 있다.
원주혁신도시의 투기 열풍이 가장 거세다. 상권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지만 임대료와 분양가는 서울 중심가를 뺨칠 정도다. 상업용지 69필지 가운데 20여개 필지에서 상가 건축이 완료된 이 지역 상가 빌딩 분양가는 1층이 3.3㎡당 2800만~3000만원, 일부는 4000만원 선이다. 월 임대료는 1칸 66㎡ 기준 350만~500만원을 호가한다. 3.3㎡당 최고 25만원 선이다. 부동산 전문기관 발표 기준 국내 최대 상권인 서울 명동의 3.3㎡당 임대료 27만 4000원에 육박한다. 보증금 차이가 있다 해도 신사동(16만 2964원), 압구정(16만 663원), 홍대 입구(12만 2656원), 강남(11만 3442원) 등 서울 대표 상권 임대료를 웃돈다. 높은 가격에도 선점 효과를 위한 좋은 자리 찾기 경쟁은 치열하다. 개점을 앞둔 A은행은 최근 상가빌딩 2층 260㎡를 보증금 10억원, 월 임대료 910만원에 임대했고 이달 초 문을 연 B은행도 1층 50㎡와 2층 416㎡를 보증금 10억원, 월 800만원에 임대했다.
전주시와 인접해 주거여건이 좋은 전북혁신도시는 외지 투기꾼들 영향으로 상가분양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 목이 좋은 A급 상권은 1층이 3.3㎡당 2400만~2500만원, B급은 1900만~2000만원에 이른다. 전남 나주혁신도시는 중심 상업지역이 1층 3.3㎡당 2000만~2500만원, 월 임대료는 200만~300만원에 달한다. 경북혁신도시 상업지역 상가 분양가는 3.3㎡당 1층 3000만원, 2층은 절반 정도인 1500만원 선이다.
높은 임대료와 분양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아직 조성되지 않은 상권에 대한 환상으로 돈이 몰린다”며 신중한 투자를 권했다. 충북혁신도시의 한 부동산 업자는 “임대료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10만~20만원 떨어진 상가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북혁신도시 상가 공실률은 80%에 이른다. 공공기관들이 완전히 입주하지 않았고, 이전 기관 임직원들이 주말에는 모두 수도권으로 빠져나가 장사가 잘되지 않아서다. 전북혁신도시에서 부동산 개발사업을 하는 이모씨는 “혁신도시 상권이 자리를 잡으려면 적어도 3~5년, 길게는 10년 정도 있어야 하는데 상가 분양가가 터무니없이 높아 공실률이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원주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5-08-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