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한 ‘안양새물공원’ 조성 마쳐
남상인 기자
수정 2018-03-16 14:13
입력 2018-03-16 14:13
5년만에 악취나는 하수처리장에서 시민을 위한 공간을 탈바꿈

1992년 최초 가동을 시작한 박달하수처리장은 일 25만t 규모의 수도권 광역하수처리시설이다. 경기 군포, 의왕, 광명 등 인근 지자체의 하수도 처리하고 있다. 광명역세권 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인근 주민은 악취에 대한 민원을 지속해서 제기했다. 이에 광명역세권 개발사업 관련 3개 기관(안양·광명·LH)은 2008년 악취를 방지하고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박달하수처리장의 지하화를 결정했다. 2013년 4월 시작한 지하화는 공사기간 60개월, 총 사업비 3297억원이 들었다.
초대형 지하 박달하수처리장은 최대 30m깊이에 길이 400m, 폭 150m 규모로 건설됐다.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3~4단계 처리공정을 거쳐 깨끗한 공기로 바뀌어 외부로 배출된다. 주변 아파트 단지로 악취가 빠져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높이 30여m의 통합배출구를 설치했다. 아파트 10층 높이의 배출구는 인공 암벽장으로도 활용된다. 시는 상부에 도심공원과 체육시설을 설치해 대표적 기피 혐오시설로 인식되던 하수처리장을 시민의 여가와 체육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이필운 시장은 “안양새물공원은 환경분야에서 님비현상을 극복하고 도심지의 환경 기초시설을 주민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 시킨 대표적 사례”라며 “시가 가지고 있는 시설과 자원을 시민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