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전기차 공유(셰어링) 사업 ‘공회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수정 2019-03-28 11:22
입력 2019-03-28 11:22
경북도와 울릉군이 ‘친환경 섬’ 이미지 구축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 공유(셰어링)’ 사업이 겉돌고 있다.

28일 도 등에 따르면 울릉도 전기차 세어링 사업은 총사업비 1636억원을 들여 섬 전역에서 내연기관 자동차를 점차 줄여나가 장기적으로 주민과 관광객이 전기차만을 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계획에 따르면 656억원을 들여 전기차 1640대를 단계적으로 구입하고 충전 인프라 구축에 160억원, 주차 시설인 셰어링 허브 구축에 460억원, 운영비에 360억원 등을 투자한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이 조합을 구성해 내연차를 매각한 대금으로 출자하면 조합에서 카셰어링을 통한 수익을 다시 주민들에게 돌려주도록 했다.

지금까지 울릉도에는 전기차가 전체 차량 5632대의 4% 정도인 224대가 보급됐으며, 2017년 말엔 카세어링을 운영할 주민협동조합이 설립됐다.

개인 소유 차량이 아닌 공동으로 차량을 이용하는 카 셰어링을 통해 고질적인 주차난과 차량 증가 등의 교통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게 울릉군 측의 설명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주민협동조합에 출자한 주민은 단 1명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주민공유조합 설립 1년이 넘도록 주민설명회조차 열지 못하고 있다.

전기차 세어링 사업으로 인해 피해를 우려한 섬 지역 렌트카 업체와 택시 업계의 반발, 주민들의 낮은 수용성 때문으로 알려졌다.

울릉 주민들은 “관광지이면서 국내에서 눈이 제일 많이 내리는 관계로 4륜구동 차량과 승합차·버스 비율이 높은 섬지역 특성을 감안할 때 전기차 세어링 사업은 현실에 맞지 않다”면서 “행정 당국의 장밋빛 청사진일 뿐”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에 대해 울릉군 관계자는 “협동조합 측과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 중이다”면서 “전기차 세어링 사업이 친환경 관광 녹색 섬을 표방하는 울릉군이 가야 할 길은 틀림없는데 주민 참여가 낮아 고민”이라고 말했다.

울릉도에는 10여개 업체가 렌트카 200여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택시 47대(개인 33, 영업용 14)가 운행되고 있다.

울릉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