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포 살리기 사업 시들…안동지역 대마 재배면적·경작인 감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수정 2020-06-17 10:41
입력 2020-06-17 10:41
이미지 확대
안동포 완제품, 안동포는 직접 대마를 길러 물레질을 해서 실을 뽑은 뒤 베틀로 짜는 등 정성껏 만든 정교한 수제품이다. 경북도 제공
안동포 완제품, 안동포는 직접 대마를 길러 물레질을 해서 실을 뽑은 뒤 베틀로 짜는 등 정성껏 만든 정교한 수제품이다. 경북도 제공
경북 안동시의 안동포 살리기 사업이 시들하다.

안동시가 명맥이 끊어질 위기에 놓인 안동포 육성에 나섰지만 정작 안동포의 주원료인 삼(대마) 재배면적과 경작인은 감소하고 있다.

17일 안동시에 따르면 올해 대마 재배면적은 임하면과 서후면 일대 4.5㏊로 지난해 5.8㏊보다 1.3㏊(22.4%) 감소했다.

재배하는 사람은 18명으로 지난해 23명보다 5명(21.7%)이 줄었다.

이처럼 대마 재배 면적과 실제 경작인이 감소하면서 시의 안동포 및 대마 육성사업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시는 2018년 안동포와 대마 산업 육성·지원 조례안을 만들어 대마 종자 비용, 비료 구매비 등 지원에 나섰다.

10새 이상 안동포를 생산하는 사람에게는 100만원을 준다. 새는 피륙 날을 세는 단위로 한 새는 날실 여든 올이다.

시는 또 안동포 기능인력 양성 등을 위해 2018년 말 임하면 금소리 7만 2000㎡에 134억원을 들여 안동포전승교육관과 천연염색체험장 등이 있는 ‘길쌈 마을’을 준공했다.

안동지역에서는 10여년 전인 2008년에만 해도 대마 재배 면적과 경작인이 38.2㏊와 98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2009년 19.2㏊, 61명을 시작으로 줄어들기 시작해 2016년에는 1.5㏊, 14명으로 떨어졌다.

2017년에는 4.1㏊에 19명으로 다소 늘었다가 2018년 2.5㏊, 14명으로 다시 감소했다.
이미지 확대
안동포의 원료인 대마 수확 장면. 경북도 제공
안동포의 원료인 대마 수확 장면. 경북도 제공
이처럼 대마 재배 면적 감소는 무엇보다 직접 대마를 길러 물레질을 해서 실을 뽑은 뒤 베틀로 짜는 등 ‘안동포’ 생산이 어렵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상품이 다양하지 못한 데다 질이 좋은 화학섬유가 나와 경제성이 낮은 것도 한 원인으로 본다.

1975년 경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돼 전승되고 있는 안동포는 수분 흡수가 빠르고 증발력이 좋은 데다 공기 유통도 잘돼 항균·항독 작용을 하기 때문에 수의복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안동포 수의의 경우 한 벌에 약 800만원~1000만원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1년에 생산되는 양이 많지 않아 이제는 구하기도 쉽지 않다.

안동시 관계자는 “안동포와 대마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주원료인 삼 생산이 필수다”며 “생산 주민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책을 적극 발굴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