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포 살리기 사업 시들…안동지역 대마 재배면적·경작인 감소

김상화 기자
수정 2020-06-17 10:41
입력 2020-06-17 10:41

안동시가 명맥이 끊어질 위기에 놓인 안동포 육성에 나섰지만 정작 안동포의 주원료인 삼(대마) 재배면적과 경작인은 감소하고 있다.
17일 안동시에 따르면 올해 대마 재배면적은 임하면과 서후면 일대 4.5㏊로 지난해 5.8㏊보다 1.3㏊(22.4%) 감소했다.
재배하는 사람은 18명으로 지난해 23명보다 5명(21.7%)이 줄었다.
이처럼 대마 재배 면적과 실제 경작인이 감소하면서 시의 안동포 및 대마 육성사업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시는 2018년 안동포와 대마 산업 육성·지원 조례안을 만들어 대마 종자 비용, 비료 구매비 등 지원에 나섰다.
10새 이상 안동포를 생산하는 사람에게는 100만원을 준다. 새는 피륙 날을 세는 단위로 한 새는 날실 여든 올이다.
시는 또 안동포 기능인력 양성 등을 위해 2018년 말 임하면 금소리 7만 2000㎡에 134억원을 들여 안동포전승교육관과 천연염색체험장 등이 있는 ‘길쌈 마을’을 준공했다.
안동지역에서는 10여년 전인 2008년에만 해도 대마 재배 면적과 경작인이 38.2㏊와 98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2009년 19.2㏊, 61명을 시작으로 줄어들기 시작해 2016년에는 1.5㏊, 14명으로 떨어졌다.
2017년에는 4.1㏊에 19명으로 다소 늘었다가 2018년 2.5㏊, 14명으로 다시 감소했다.

게다가 상품이 다양하지 못한 데다 질이 좋은 화학섬유가 나와 경제성이 낮은 것도 한 원인으로 본다.
1975년 경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돼 전승되고 있는 안동포는 수분 흡수가 빠르고 증발력이 좋은 데다 공기 유통도 잘돼 항균·항독 작용을 하기 때문에 수의복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안동포 수의의 경우 한 벌에 약 800만원~1000만원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1년에 생산되는 양이 많지 않아 이제는 구하기도 쉽지 않다.
안동시 관계자는 “안동포와 대마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주원료인 삼 생산이 필수다”며 “생산 주민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책을 적극 발굴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