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경기도 내 창고시설 화재원인 최다는 ‘부주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남상인 기자
수정 2020-08-30 09:48
입력 2020-08-30 09:48

1만㎡ 초과 대형냉동·냉장창고 인명피해 커

이미지 확대
지난 3월 경기도 광주시 쌍령동에서 발생한 냉동창고 화재 장면. 경기도 제공
지난 3월 경기도 광주시 쌍령동에서 발생한 냉동창고 화재 장면. 경기도 제공
최근 5년간 경기지역 창고시설에서 일어난 화재원인은 ‘부주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발표한 경기 소방재반본부의 ‘최근 5년간 물류센터 등 창고시설 화재현황 분석’ 자료에서 이같이 밝혔다.

화재현황 분석에 따르면 연면적 3000㎡ 이하 건물에서 화재발생 빈도가 높았지만, 인명피해는 연면적 1만㎡ 초과 대형냉동·냉장창고에서 컸다. 2016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5년간 경기도 창고시설에서 총 758건 화재로 사망 41명, 부상 45명 등 86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재산피해는 1424억원으로 집계됐다. 연평균 163건의 화재가 발생해 사상자 7.3명, 재산피해 230억 원이 발생한 셈이다.

화재원인은 부주의가 284건(38%)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기요인 234건(31%), 원인미상 155건(20.4%) 등 순이었다. 장소별로는 일반창고 화재가 548건(72.3%)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창고(143건), 냉동·냉장창고(64건), 하역장(3건)이 뒤를 이었다. 규모별로는 3000㎡ 이하에서 전체 화재의 90.8%인 688건이 발생해 대다수를 차지했다. 1만㎡ 초과는 35건, 3000~5,000㎡는 19건이다.

하지만 인명피해는 1만㎡를 초과하는 대형냉동·냉장창고에서 60.5%(사망 38명, 부상 14명) 발생해 대형건물에서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는 지은 지 11~20년 된 건물에서 123건(45.4%) 발생해 가장 빈번했다. 이어 6~10년 43건(15.9%), 0~5년 41건(15.1%), 21~30년 38건(14%) 등의 순이다. 시기별로는 봄철(3~5월)이 245건(32.3%)으로 가장 많았고, 겨울철(12~2월) 218건(28.7%)이 뒤를 이었다.

이형철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장은 “소규모 창고 시설에서 대부분 화재가 발생했지만 인명·재산피해는 대형창고시설에 집중됐다”며 “대형창고의 경우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가 부주의 요인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지역에는 일반창고 2만 6606개소, 물류창고 1135개소, 냉동·냉장 269개소, 하역장 223개소, 물류터미널 22개소, 집배송시설 11개소 등 총 2만 8266개소의 창고시설이 있다. 규모별로는 연면적 3000㎡ 이하가 97.1%인 2만 7439개로 대다수를 차지한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