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역학조사관’ 지원자가 없다…격무에 지원 회피
남상인 기자
수정 2020-12-15 11:39
입력 2020-12-15 11:26
군포시. 재차 채용공고 후 4개월만에 1명 배치
안양시, 보건소 소속 의료기술직 등 4명 역학조사관 지정

지난 9월 5일 시행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법률’에 따라 인구 10만명 이상 시군구에서는 1명 이상의 역학조사관을 의무적으로 배치해야 하지만 사정은 그렇지 못하다.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11월 기준 전국 226개 시군구 중 인구 10명 이상은 총 134곳이다. 하지만 법이 시행된지 3개월이 지나도록 11월 30일 기준 해당 지자체 중 56곳이 42%가 역학조사관을 채용하지 못했다.
경기도는 31개 지자체 중 인구 10만명 이상인 27곳이 1명 이상의 역학조사관을 배치해야 한다. 하지만 법이 시행된 지난 9월 초까지만 해도 해당 시군 15곳이 한 명도 역학조사관을 채용하지 못했다. 역학조사관은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일선 현장에서 감염경로 추정 등을 조사해 실질적인 방역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인력이지만 하는 일에 고되고 험해 선뜻 지원자가 없기 때문이다.
경기도에서도 지원자가 없어 역학조사관 채용에 애를 먹는 지자체가 많은 실정이다. 인구 27만 군포시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인구10명 이상 시군에 해당해 역학조사관을 1명 이상 배치해야 하지만 최근까지도 지역을 담당할 조사관을 채용하지 못했다. 지난 9월 시가 채용공고를 냈지만 지원자가 한 명도 없었기 때문이다.
군포시 관계자는“재차 채용공고를 내 3명이 지원했지만 그나마 1명은 면접시험에 참석하지 않았다”며 “공고를 낸 지 4개월이 지나 비로소 역학조사관 한 명을 채용할 수 있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어 ”과도한 업무에 비해 채용 조건이 까다롭고 처우가 좋지 않아 지원자가 없는 것 아니겠느냐?”고 설명했다. 군포시 한 인터넷 카페에는 “왜 우리 시에는 역학조사관이 없어 도에서 역학조사를 하느냐“며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다.
인근 인구 55만의 경기 안양시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자 지난 10월 만안·동안보건소 역학조사관을 2명에서 4명으로 늘렸다. 전문적인 코로나19 대응차원에서 보건소 소속 의료기술직, 간호직 공무원 4명을 수습 역학조사관으로 지정한 것이다. 이들은 해당 분야 교육이수와 논문, 보고서 제출 등 전문 역학조사관이 되기 위한 과정을 거칠 예정이다. 만안, 동안 각 보건소에 2명씩 근무하며 코로나19 등 다양한 감염병 관련 역학조사 업무를 수행한다. 인구 16만의 의왕시도 최근 역학조사관 2명을 임명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가화하는 상황에서 역학조사관의 임무가 막중한 만큼 채용기준 완화, 처우개선 등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