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입산자 실화 막아라” 산불 예방 총력전
조한종 기자
수정 2021-05-06 02:54
입력 2021-05-05 20:40
5월 나들이객 증가 등 실화 63% 차지
강원, 산림특별사법경찰 44개 조 가동
경남, 산불조심기간 이달 말까지 연장
강원도는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평균 71건의 산불이 발생해 553.7㏊의 산림이 불에 탔다고 5일 밝혔다. 축구장 면적(0.714㏊)의 775배에 달한다.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는 4월 15.5건이었고. 3월 14.3건, 5월 13.5건 순이었다.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 나들이객 증가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산불 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46%로 가장 많았고, 논·밭두렁 태우기 및 쓰레기 소각이 20%, 담뱃불 실화 5.5% 등의 순이었다.
특히 5월에 발생한 산불은 입산자 실화가 63%나 차지해 강원도는 이달 말까지 총력전을 펼쳐 이를 막기로 했다. 산불감시원 2190명을 입산통제구역, 등산로, 산나물 자생지 등에 전진 배치하고 산림특별사법경찰관 44개 조 98명을 기동단속팀으로 편성했다. 입산통제구역 무단 출입자, 화기물 소지 입산자, 화기 이용 취사 및 무속행위, 불법 산나물 채취 등의 위반자를 단속해 모두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경남도는 오는 15일 끝나는 상반기 산불조심기간을 이달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감시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군 공무원 등 가용 인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산림청과 산림항공본부, 소방서와 공조해 산불 진화에 신속 대응할 계획이다.
춘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21-05-0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