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초등생 수 5년 뒤 35% 급감… 학교 통폐합 가속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수정 2024-12-27 00:59
입력 2024-12-27 00:59

올해 8만 2224명→5만 3154명으로
내년 전교 10명 미만 8개 초교 통합

5년 후인 2029년 전북지역 초등학생 수가 지금보다 3분의1로 줄어든다는 전망이 나왔다. 강산이 변한다는 10년 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도내 초등학생 수는 절반 수준에 머무른다.

26일 전북교육청의 ‘2025~2029학년도 초등학교 중기 학생배치계획’에 따르면 올해 전북지역 초등학생은 8만 2224명이고, 내년에는 7만 6158명으로 줄어든다. 2029년에는 5만 3154명으로 올해보다 35% 넘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9만 7713명)부터 올해까지 총 1만 5507명(15.9%)이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감소 폭이 두드러진다.

향후 5년간 지역별 학생 수 추이를 살펴보면 부안군의 감소율이 39.3%로 가장 높고, 장수군(38.2%), 김제(36.8%), 전주(36.5%), 정읍(36.3%) 순으로 파악된다. 농촌지역은 학생이 도시로 떠나면서 줄고, 도시지역은 원도심에서 신도심으로 이동해 급지 간 학생 수 편차가 커질 거라는 게 도 교육청의 예측이다. 현재 전북지역 초등학교는 417곳이다. 학급당 정원 20명을 기준으로 할 때 모든 학교와 학년이 1개 반으로만 운영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전북교육청은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교생이 10명도 채 되지 않는 아주 작은 학교가 대상이다. 당장 내년에만 군산 선유도초, 신시도초, 개야도초, 금암초를 비롯해 김제, 임실, 고창 등에서 8개교가 인근 학교와 통합된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학급당 학생 수 기준을 현행 유지 시 2029학년도에는 올해보다 1182학급이 줄어들게 된다”며 “단위 학교별·연도별 학생수 추계와 시설현황·공동주택 개발 등 변동 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적정규모 학교 및 학급 규모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
2024-12-27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