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약형 특성화고 선정, 광주·전남엔 ‘0’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수정 2025-09-24 01:14
입력 2025-09-24 01:14

지역인재 양성… 5년간 45억 지원
“수도권 집중… 지역 배분 고려해야”

지역 맞춤 인재 육성을 목표로 설립하는 ‘협약형 특성화고’가 광주·전남에는 ‘0’건으로 드러나 지역 안배가 절실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자체, 교육청, 지역 기업, 특성화고 등이 협약을 맺어 연합체를 구성한 뒤 지역에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는 특성화고의 한 유형이다. 지역 정주형 기술인재 양성을 위해 지난해 신규 도입됐다. 선정되면 5년간 최대 45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학령인구 감소 및 인력난 등으로 지역소멸 현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지역 내 정주 비율이 높은 특성화고 졸업생들을 육성해 지역을 발전시키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운영된다. 하지만 지난해와 올해 협약형 특성화고에 전남, 광주, 울산, 세종에 있는 학교는 단 한 차례도 선정되지 못했다.

23일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년 동안 선정된 학교 소재지는 인천이 3개교로 가장 많고 뒤를 이어 서울·대전·충남·전북·경북이 각각 2개교다. 김 의원은 “소멸위험 지역 1위인 전남이 협약형 특성화고에서 선정되지 못하면 지역소멸의 위험은 더 커진다”며 “사업 목적과 배경이 지역소멸 대응 및 지역인재 육성에 있는 만큼 선정시 지역 배분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순천 최종필 기자
2025-09-2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