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콘텐츠…진화하는 지역 상권] 추억과 문화가 있는 전통시장들
수정 2014-09-12 02:40
입력 2014-09-12 00:00
경기 양평·오산 야시장 운영 “시범운영 후 다른 지역 확대”
밤 12시까지 영업을 연장하고 볼거리, 먹을거리, 즐길거리를 확대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꾀하는 사업이다. 도는 1000만원씩 사업비를 지원한다. 지자체, 중앙정부, 상인들이 함께 노력해야 전통시장 활성화를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물맑은 시장은 매월 첫째, 셋째 토요일 1970∼1980년대 포장마차 콘셉트의 매대(물건을 놓고 파는 자리)를 설치해 장년층에게 추억을 불러일으키고 젊은 세대에게는 색다른 경험을 선사한다.
오일장인 오색시장은 벼룩시장 위주로 야시장을 꾸리고 7080세대 음악공연, 마술, 창립 100주년 기념품 지급 등 각종 이벤트로 주민 참여를 이끈다. 상인회는 관련 전문가를 초청해 문화야시장 참여 상인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박승삼 경기도 서비스산업과장은 “국내엔 태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야시장을 찾을 수 없는 데다 기존 전통시장엔 부족한 문화 콘텐츠를 감안해 사업을 구상했다”며 “시범 운영한 뒤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지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4-09-1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