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 얼리기 비법’ 산천어 축제 살렸다
조한종 기자
수정 2016-01-13 03:12
입력 2016-01-12 23:52
화천 겨울축제 최대 흥행
강원 화천 ‘산천어축제’가 남다른 얼음 관리와 이벤트로 대박 행진을 이어 가고 있다. 다른 자치단체들은 포근한 날씨 탓에 얼음이 얼지 않아 잇따라 겨울축제를 접어야 했던 것과 대조된다.
화천군 제공

이렇게 산천어축제가 날씨를 극복하면서 축제를 개최한 데는 화천군 나름의 노하우가 있었다. 햇빛이 거의 들지 않는 골짜기에다 지표면보다 1~2도 낮은 골바람이 불어오는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춘 화천천을 축제 장소로 골랐다. 여기에 수년 동안 하천의 물 흐름과 수위에 따라 물 가둠을 조절하며 얼음을 얼리는 남다른 비법을 터득한 것도 한몫했다. 인근 축제장이 얼음 얼리기에 실패해 축제를 포기할 때 산천어축제장은 25㎝가 넘는 두께의 얼음을 얼렸다. 소양강 상류에서 축제를 열던 인제군의 빙어축제를 비롯해 홍천군의 꽁꽁축제, 경기 가평군 자라섬의 씽씽겨울축제 등이 축제를 포기했다. 이들 자치단체는 화천군의 얼음 관리 비법을 부러워하고 있다. 씽씽겨울축제 등 산천어축제를 벤치마킹한 축제들이 비법까지 따라하지는 못했다.
화천군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실속 이벤트로 또 다른 승부를 걸었다. 당장 관광객들이 지역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14일부터 밤 8~10시에도 낚시터를 운영한다. 밤에 손전등을 켜고 얼음구멍으로 산천어를 잡는 상품을 개발했다. 화천 지역에서 숙박하거나 예약한 영수증을 보여 주면 밤낚시 이용권을 무료로 준다. 밤까지 선등거리와 ‘산천진미’ 야시장도 운영한다. 유명 자연요리 연구가를 초청해 야시장의 수준도 높였다. 김진흥 군정홍보계 주무관은 “올겨울 축제부터 2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화천 지역에서 1박 이상 머물며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밤을 이용한 각종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가 찾은 축제장은 평일이었지만 가족 동반 관광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얼음낚시터에는 7000개 넘게 뚫어 놓은 얼음 구멍에 낚싯대를 드리운 강태공들로 붐볐다. 외국인 전용 낚시터도 인파로 넘쳐 세계적인 축제임을 보여 줬다. 낚시터 주변 구이터와 회센터도 잡은 산천어를 요리해 먹으려는 인파로 북적였다. 고기를 잡지 못한 관광객들에게는 군이 1인당 2마리씩 산천어를 무료로 제공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얼음물에 들어가 맨손으로 산천어를 잡는 맨손 잡기 체험장에는 외국 관광객들도 많이 보였다. 주변의 얼음썰매장과 서화산터널에 마련한 얼음광장에도 가족 단위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져 겨울 축제를 즐겼다. 문화체육관광부가 3년 연속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선정한 대표 겨울 축제다웠다.
최문순 군수는 “국내외에서 명성을 얻는 산천어축제는 새로운 노하우와 알찬 이벤트로 관광객들에게 추억을 심어 주고 있다”고 말했다.
화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6-01-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