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판화에 담은 맑고 싱그러운 색감 ‘막사발 전도사’ 한국美 전파에 앞장

임송학 기자
수정 2016-02-18 01:52
입력 2016-02-17 23:08
김용문 터키 국립대 교수 전주서 전시

이번 전시에는 터키 제자 비르칸 악차와 아르헨티나에서 활동하는 도예가 크리스티나 피오루치 등도 참여해 도자기 타악기도 전시한다. 화병 모양의 도자기 주둥이에 아르헨티나에서 가져온 양가죽을 씌운 터키 전통북 ‘다르부카’다. 터키에서는 금속을 쓰지만 김 교수는 도자기를 이용해 아름다우면서 깊은 울림을 내는 색다른 다르부카를 만들어 냈다. 이 악기는 크기는 작아도 소리가 깊고 크게 울려 퍼진다.
김 교수는 그동안 큰 항아리나 대형 접시, 막사발의 곡면에 손가락으로 역동적인 그림을 그렸는데, 이번에는 평평한 도자기 판에 참신하면서도 현대적인 추상화를 꽃피웠다. 김 교수는 “터키에서 도판화를 선보였을 때 대부분 칭찬을 아끼지 않아 막사발과 함께 도판화로 병풍을 만들어 한국적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막사발 전도사’라는 별명에 걸맞게 “세계 10개국에 막사발 지부를 만들어 같은 시간에 가마에 불을 붙이고 막사발을 굽는 퍼포먼스를 인터넷으로 생중계해보는 게 꿈”이다. 또 “도판화로 병풍을 만드는 등 한국적인 멋을 세계화하는 시도를 멈추지 않겠다”고 말했다.
홍익대 미대 공예과를 졸업하고 30여년 넘게 도자기를 빚어 온 그는 세계막사발장작가마축제 조직위원장, 중국 치루대 초빙교수, 터키 국립하제테페미술대 초빙교수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 교수는 전시회가 끝나는 28일 터키 대학으로 다시 떠난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6-02-1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