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예술제로 바꿔 예산 아끼고 시민 참여 문 넓혔죠”
최훈진 기자
수정 2018-05-09 01:00
입력 2018-05-08 21:18
김종석 서울거리예술축제 예술감독
크레인 활용 대형 공연에 반향 커
예산 규모 28억원서 절반 수준 줄어
“‘하이서울페스티벌’을 두고 예산이 너무 많이 투입된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예산을 절감하는 동시에 시민의 발길이 이어질 수 있을지 고민한 끝에 거리예술축제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거리예술의 가장 큰 특징은 열린 공간에서 펼쳐지는 만큼 관객 참여가 열려 있다는 점이다. 서울 시청광장, 세종대로, 청계천 등이 그동안 고정 무대였다. 김 감독은 “해마다 새로운 공간을 발굴하려고 한다. 창동, 망원동, 길음동 등 마을을 찾아가기도 하고 지난해엔 문화비축기지, 서울로 7017 등 재생 공간에서 공연했다”고 말했다. 거리예술 무대를 넓혀 가고 있는 셈이다.
예산은 줄었지만 국내외 반향은 오히려 커졌다고 그는 말했다. 김 감독은 “공중 크레인에 매달려 배우들이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청계천변을 2000개 불화분으로 장식한 채 음악 연주를 하는 등 대형 공연이 펼쳐지니 예산 규모도 클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2012년에는 예산이 28억여원이었는데 지금은 그 절반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세계적인 ‘축제의 도시’의 공연팀들이 줄줄이 한국을 찾고 있다고 했다. 김 감독은 “프랑스 68혁명 이후 유럽에서 성장한 거리예술축제는 최근 경제 위기를 겪으며 그 규모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라면서 “이에 아시아 시장을 뚫고 싶어 하는 유럽 유수의 공연단이 대형 퍼포먼스를 들고 한국을 찾고 있다”고 했다. 한·불 수교 100주년이던 2016년에는 프랑스 카라보스 극단이 청계천변에서 설치 퍼포먼스인 ‘흐르는 불, 일렁이는 밤’을 개막작으로 선보였다. 한·호주 공동창작품인 ‘시간의 변이’는 영국 스톡턴시에서 열리는 국제강변축제에 초청받았다.
김 감독은 수년째 전 세계 축제를 돌며 해마다 초청할 해외 작품을 고르거나 국내 공연단이 초청받을 수 있도록 이른바 ‘축제 세일즈’를 해 왔다. 그는 “프랑스 샬롱 축제에 가장 많은 축제 감독이 모인다”면서 “한국에 초청해 달라는 요청뿐만 아니라, 협업해서 공연을 창작하자는 요청도 적지 않다. 그만큼 국제적 위상이 올라간 것”이라고 했다.
거리예술축제의 주인공인 시민의 태도도 달라졌다. 김 감독은 “촛불 혁명 이후 시민들이 자발적인 열기를 어떻게 소화시킬지 궁금했는데, 지난해 축제 때 거리로 나온 130만명의 시민들은 전에 비해 굉장히 적극적이었다”면서 “거리예술의 성패는 관객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달라진 시민들 덕분에 축제도 성공리에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8-05-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