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인·명물을 찾아서] 임오군란 때 들어온 中상인 칼 3자루로 뿌리를 내리다
수정 2013-11-04 00:00
입력 2013-11-04 00:00
개항장 문화거리 핵심 차이나타운
화교들이 정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3자루의 칼이었다고 한다.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육도(肉刀), 양복점에서 쓰는 전도(剪刀), 이발소 면도칼인 체도(剃刀)를 가리킨다. 화교들이 주로 이들 업소에 종사하면서 부를 축적했음을 상징한다.
차이나타운에는 30여개의 중국요리집과 중국 토산품, 의상, 식료품, 제과 등을 파는 20여개의 상점이 자리 잡았다. 지난해 4월에는 ‘짜장면 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우리나라에서 1912년쯤 짜장면을 처음 만들어 낸 음식점인 ‘공화춘’이 있던 자리다. 공화춘은 인천항에서 막일을 하는 중국 산둥성(山東省) 출신 노동자 ‘쿠리’(苦力)들이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짜장면을 개발했다. 수타로 만들어진 짜장면을 직원들이 손수레로 급히 바닷가로 가져가 팔았다고 한다. 공화춘은 1983년 폐업했으나 중구가 방치된 건물을 사들여 짜장면박물관을 개관함으로써 홍보 수완을 발휘했다. 어린이들이 중국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중국어마을 문화체험관’도 문을 열었다.
이 밖에 파이러우(큰 대문 모양의 상징물), 삼국지 벽화거리, 중국 사찰인 의선당, 한·중문화관, 화교학교 등도 눈길을 끈다. 인천차이나타운은 한때 사양길을 걸었으나 관광특구 지정 등에 힘입어 다시 활기를 찾아가고 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3-11-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