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문수산서 고려시대 절터 추정 유적지 첫 발견
이명선 기자
수정 2018-07-25 12:23
입력 2018-07-25 12:23
고려시대 건물터 3단석축, 조선시대 건물터서 2단석축 등 유적 3곳 발견

김포문화재단은 문수사 일대 학술·정밀 지표조사 결과 문수산에서 최초로 고려시대 절터로 추정되는 지역 1곳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추가로 조선시대 절터 추정 1곳과 1705년 숙종시대 세워진 응진당대사비 평탄지 1곳도 발견됐다. 문수산의 현 문수사는 사료는 없으나 신라 해공왕때 창건된 것으로 전해진다. 또 문수사 풍담대사 부도·비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1호로 지정돼 있다.

또 조선시대 절터와 고려시대 절터로 추정되는 두 곳은 조선후기 지도에 ‘문수곡(文殊谷)’이라 표시된 곡부상에 위치해 있다.
조선시대 절터는 총 1400여㎡로 2단석축이 확인됐다. 발견된 조선후기 자기편과 와편·도기편 중 특히 와편이 압도적으로 많아 절터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박형숙 문화유산팀장은 “문수곡은 군부대 때문에 접근하기 어렵지만 예전 문수산성 북문으로부터 문수사로 올라가는 동선으로, 이 선상에서 확인된 건물터는 문수사와 관련된 절터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또 “응진당대사비 평탄지가 절터인지 부도밭인지는 추가로 발굴조사가 이뤄져야 확인할 수 있고 우선 보존조치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최해왕 김포문화재단 대표는 “학술적 목적으로 문수사 일대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수사의 역사적 원형을 찾는 일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됐다”며 “이번 조사는 문수사의 역사적 위상과 스토리의 폭을 한층 넓히는 계기로 앞으로 추가로 조사해 학술대회와 스토리텔링를 실시해 김포 문수산과 문수사가 갖는 역사적 의미를 하나씩 밝혀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