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이슈] “제2 시화호 전철 결코 밟을 수 없어…쌀 남아도는 요즘 농지 필요성 의문”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병철 기자
수정 2015-03-01 21:52
입력 2015-03-01 18:08

‘담수화 반대’ 채인석 경기 화성시장

채인석 경기 화성시장은 2012년 8월 24일부터 21일간 해남 땅끝마을에서 국회까지 522㎞를 도보로 완주했다. 주요 국책 사업이 화성 주민들의 바람과 배치되는 쪽으로 진행돼 대국민 호소에 직접 나선 것이다.

이미지 확대
채인석 경기 화성시장
채인석 경기 화성시장
당시 채 시장이 문제 제기한 것 중 하나가 화성호 해수유통 문제이다. 채 시장은 전국 17개 시를 걸어다니며 해수유통 지지 서명을 받아 국회와 국무총리실, 농림축산식품부에 전달했다. 채 시장의 이 같은 노력으로 기정사실화됐던 화성호 담수화 계획은 수질보완대책 평가를 거쳐 내년 이후 결정하는 것으로 유보됐다. 그런데 평가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담수화를 전제로 한 도수로 공사가 강행되자 채 시장이 화가 난 것이다.

그는 2일 “화성호의 담수를 이용해 시화 대송지구에 농업용수를 공급한다는 것은 화성호의 담수화를 기정사실화한 것”이라며 “쌀이 남아도는 요즘 농지가 더 필요한지 의문시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970년 136㎏이던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이 2012년 69.8㎏으로 절반가량 확 줄었습니다. 매년 쌀 재고가 쌓여 있고 풍년에 수매가 걱정이란 뉴스가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됐습니다.”

채 시장은 “특히 죽음의 호수였던 시화호가 밟은 전철을 화성호도 그대로 따라가겠다는 것을 납득할 수 없다. 화성호 담수화는 결코 친환경적이라 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화성호 담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는 방안은 경제성, 수질 문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도 부적절하다고도 했다.



그는 남양호, 아산호, 삽교호 등을 예로 들며 “국내 대부분의 담수호는 농업용수로 쓸 수 없을 정도로 수질이 심각하게 오염됐다. 수질개선에 많은 돈을 쏟아부었지만 수질은 더 나빠지고 있는 실정이다”고 설명했다. 채 시장은 “오히려 해수유통으로 화성호의 수질과 자연환경이 좋아지면 생태관광, 해양레저, 내항도시 개발 등 다양한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이용이 가능해진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5-03-0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