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식 경기도의원 초·중 통합 미래학교 운영방향 토론회 개최
수정 2021-11-16 09:50
입력 2021-11-16 09:50

경기도의회와 경기도교육청이 주최·주관하는 ‘2021 경기교육 정책토론회’의 일환으로 열린 이 날 토론회는 김강식 도의원(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을 좌장으로, 원덕재 장학사(도교육청)의 발제와 임동희 경기 유·초·중 통합형 미래학교 연구회장, 지석환 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김성희 미래마을 교육공동체/학부모 대표, 박문현 수원교육지원청 장학사와의 활발한 토론으로 진행됐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김 도의원은 초·중 통합 미래학교는 수년간 지역에서 논의가 되어온 끝에 진행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어떻게 추진하고 진행할지 앞으로 미래학교 운영에 대한 고민을 함께 시작하고자 도의회와 도교육청이 정책토론회의 의제를 설정한 배경을 설명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원덕재 도교육청 장학사는 “경제적 효율성을 위주로 진행되었던 기존 통합미래학교에서 벗어나 교육적 가치에 집중한 학교를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통합운영학교를 위한 정책 재수립, 교원 역량강화, 행·재정 시스템 개선, 예산 변화에 따른 신설기준 마련, 학교 재구조화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 토론자인 임동희 미래학교 연구회장은 “함께 성장하는 교육 공동체 문화 형성 및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져야 하며 앞으로 어떤 노력이 필요할지 논의가 지속돼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두 번째 토론자인 김성희 미래마을 교육공동체/학부모 대표는 “마을공동교육체가 세대를 아울러 교육하고 시대를 이끄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 번째 토론자인 박문현 수원교육지원청 장학사는 “학습 공간 간의 융합이 가능한 유연한 구조와 학교 가치를 바탕으로 교육철학이 구연되는 공간, 지역 사회와 함께 운영하는 공간 등을 마련해야 한다”며 수원 미래학교의 변화 요소를 제언했다.
마지막으로 지석환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은 학습위주 교육과정 교육공동체 구축 방안에 대해 “학교 공간 재구조화와 연계 수업에 대한 아이디어 도출, 초·중학교 교육 방식에 대한 교사 간 소통 및 역량 강화, 학생 개별 성장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김진표 국회의원, 장현국 경기도의회 의장, 박근철 경기도의회 더불어 민주당 대표의원, 심규순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의 축사로 시작되었으며 도의회 유튜브 라이브방송을 통해 실시간으로 질문과 답변을 하며 도민과 활발한 소통을 이어나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