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칼슘 가로수 닿을라 ‘후덜덜’
수정 2010-01-08 00:00
입력 2010-01-08 00:00
대전시가 가로수 보호에 온갖 정성을 쏟고 있다. ‘3000만 그루 나무심기’로 다른 대도시보다 앞서고 있는 도시숲의 한 축인 가로수가 제설작업 때 뿌려진 염화칼슘으로 피해를 입지 않을까 우려, 각종 대책에 나섰다.
대전시는 이번 폭설을 치우는 과정에서 중앙분리대 가로수 주변에 차단막을 설치하고, 가로수가 심어진 도로변을 피해 염화칼슘을 살포하도록 했다고 7일 밝혔다. 각 자치구에는 친환경 염화칼슘을 사용하도록 요청했다.
염화칼슘은 가로수 주변 토양에 축적됐다가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다량의 염화칼슘 사용으로 염류(鹽類)가 쌓여 토양이 알칼리화(pH 7.2 이상)되면 가로수는 뿌리를 통해 양분과 수분을 원활히 공급받을 수 없게 된다. 결국 수세 약화, 병충해 저항성 저하 등으로 고사하게 된다.
대전시내 녹지형 중앙분리대는 모두 20㎞에 이르고, 11만 6000여 그루의 가로수가 심어져 있다. 시는 2006년부터 3000만 그루 나무심기를 벌여 현재까지 600만여 그루의 나무가 도심 곳곳에 새로 심어졌다.
신성순 도시숲조성계장은 “기상악화에 따른 피해방지를 위한 여러 예방책을 미리 세워놓아 이 정도 눈에는 가로수가 큰 피해를 입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5일 대전에는 10㎝가 안되는 눈이 내렸다. 염화칼슘 피해를 입으면 잎이 누렇게 변화는 갈변현상이 나타난다.
시는 이번 겨울에 접어들면서 찬 공기나 염화칼슘 등의 직접적 피해가 덜하도록 가로수 밑에 목재칩을 두껍게 깔고 배롱나무, 영산홍, 진달래 등 추위에 약한 수종은 짚으로 감싸주는 예방조치를 취했다.
신 계장은 “새로 심은 가로수 중에는 염화칼슘에 비교적 강한 소나무 등도 많다.”면서 “가로수를 심는 것 못지않게 관리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0-01-0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