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 복합물류기지 조성 지지부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1-08 00:00
입력 2010-01-08 00:00
전국 5대 내륙 물류기지의 하나인 ‘호남권 복합물류 터미널 및 내륙컨테이너 조성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내륙 물류체계 확충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7일 국토해양부와 전남 장성군 등에 따르면 2003~2010년 서삼면 일대 52만여㎡의 부지에 호남권 내륙물류기지를 짓기로 하고, 인입 철도 개설 등 관련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어 2005년 1단계 공사를 마치고, 6~7개 물류 업체가 입주해 부분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국토부는 물류기지 활성화를 위한 철도 등 기반시설 확충에 1200억원을 투입했다.

그러나 물류기지 조성 공사를 맡은 ‘한국복합물류’가 수익성을 이유로 시설투자에 소극적이어서 호남권 내륙물류기지 조성 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 회사는 당초 국토부와 올해 말까지 모두 2500억원을 들여 단지 내 17개 동의 물류 시설(총 면적 1만 8000㎡)을 확충키로 했으나 현재 30% 정도인 7개 동만 건설해 운영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대형 제조업체 등 고정적인 화주를 확보한 뒤 정부와 협약한 시설물을 확충하려 했으나 여의치 않아 늦어지고 있다.”며 “지난해와 올해는 여러 대형 화주들과 접촉하는 등 입주 수요 파악에 주력해온 만큼 시설 확충 등 전체 공정률을 크게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성군과 주민 등도 하루빨리 이 물류기지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군 관계자는 “물류기지 내 시설 확충이 늦어지면서 일부 제조업체는 자체 물류단지를 확보하는 등 정부의 물류 정책과 엇박자를 내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6㎞ 남짓 떨어진 광주 한남산단과 직선으로 연결되는 국지도 49호선의 확·포장 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국토부 물류시설정보과 관계자는 “시행사 측이 기한 내 관련 시설물을 확충하지 못할 경우 당초 협약에 명시된 각종 페널티를 적용하는 등 불이익을 줄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1990년대 이후 늘어나는 물류의 원활한 소통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도권(군포) 부산권(양산) 호남권(장성) 중부권(청원) 영남권(칠곡) 등 5대 권역별로 5~8개의 내륙물류기지를 개발해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0-01-0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