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연제구 재선충 2년째 ‘0’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1-15 00:12
입력 2010-01-15 00:00
국내 첫 소나무 재선충이 발생한 부산에서 이 해충이 사라지고 있다.

부산시는 연제구에서 지난 2년간 재선충 감염 소나무가 한 그루도 발견되지 않아 최근 산림청으로부터 청정지역으로 지정됐다고 14일 밝혔다. 또 서구·수영구·동구 등 3곳도 지난해 1년간 재선충이 발생하지 않아 올해 안으로 예비 청정지정을 앞두고 있다. 재선충 청정지역은 재선충이 2년간 발생하지 않는 곳으로, 부산에서는 연제구가 처음이다.

시 관계자는 “서구, 동구, 수영구 등이 무난히 예비 청정지역으로 지정될 것으로 보여 내년에는 청정지역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처럼 부산에서 소나무 재선충이 점차 줄어드는 것은 시가 지속적으로 항공방제를 펴고 재선충 피해 목을 벌목하는 등 재선충 확산 저지에 총력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해 83억원을 들여 소나무 재선충 감염나무 6만 1700여그루를 베어내고, 521㏊에 예방주사를 놓는 한편, 9990㏊의 산림에 항공방제를 했다. 시는 올해도 76억원을 들여 300㏊에 예방주사를 놓고 9000㏊에 항공방제를 하는 등 총력전을 펼칠 방침이다.

부산지역 소나무 재선충 피해는 1988년 동래구 금강공원에서 처음 발생한 이래 1990년 100㏊, 1995년 80㏊, 2000년 1080㏊ 등으로 확대되면서 2005년 3447㏊로 정점을 찍은 뒤 2007년 2740㏊, 지난해 1790㏊로 줄어들고 있다.



재선충은 소나무의 에이즈로 불리는 치명적인 병해충으로 길이 1㎜도 채 안 되는 벌레지만 소나무의 수액 이동통로를 막아 한번 감염된 소나무는 모두 고사된다. 전 세계적으로 재선충 발생국은 일본, 타이완, 중국, 미국, 포르투갈 등 9개국으로 아직 완전방제에 성공한 나라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 김정한기자 jhkim@seoul.co.kr
2010-01-1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