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아파트도 종량제 봉투 안쓴다
수정 2010-03-10 00:00
입력 2010-03-10 00:00
광주 ‘생생하우스’ 본격 운영… 쓰레기 자동 분리 배출
이 시스템이 정착되면 종량제 봉투가 사라지고, 배출량도 크게 줄 것으로 보여 성공 여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광주 남구는 9일 봉선동 남양휴튼 1차 아파트 단지에서 ‘생생 하우스’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단지 안 57㎡의 공간에는 쓰레기 압축기, 재활용품 수거기,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폐기물통계 네트워크 시스템 등이 갖줘져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전산 처리된다.
이 아파트 주민 이모(49·여)씨는 “ 앞마당에 쓰레기 봉투가 쌓이지 않아 생활환경이 쾌적하고, 재활용품이 제대로 분리되는 데다 이를 돈으로 되돌려 받을 수 있으니 일석삼조”라고 말했다.
‘생생하우스’는 생활쓰레기를 현재의 부피에서 무게중심으로 전환해 재활용·일반·음식물 쓰레기 등으로 분리, 배출하는 자동화 시스템이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종량제 봉투 대신 일반 비닐 봉투 등에 쓰레기를 담아와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해당 처리 기계에 넣기만 하면 된다. 음식물 쓰레기도 현장에서 미생물 발효 처리된다.
이때 가구별로 발급된 RFID(무선식별)카드에는 쓰레기 무게에 따른 수수료가 책정돼 입력된다.
재활용품 역시 종류별 무게에 따라 카드에 포인트로 적립되고, 나중에 수수료 부과시 그만큼 되돌려 주는 방식이다.
이 제도가 정착되면 쓰레기 처리 비용이 획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쓰레기 종량제 제도도 변화가 불가피하다.
그러나 남구의 생생하우스 시스템은 관급 쓰레기 봉투를 아예 사용하지 않도록 고안되면서 환경부에서도 이의 확대 설치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구 관계자는 “지난 1년여간 생생하우스에 대한 시범운영 결과 일반 쓰레기가 20% 줄어든 반면 재활용 쓰레기는 300~400%가량 증가했다.”며 “지자체들의 벤치마킹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생생하우스를 각 도심의 빈터에 설치하게 되면 현행 문전수거 방식이 거점수거 방식으로 바뀌면서 골목길의 특정 장소까지 쓰레기를 들고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불가피하다. 또 1대에 5000만원을 웃도는 자동화 시스템 설치 비용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0-03-1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