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세계물포럼 유치경쟁 치열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3-18 00:00
입력 2010-03-18 00:00
지자체들이 2015년 열리는 제7차 세계물포럼 유치를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세계물포럼은 세계 물의 날(3월22일)을 기념해 3년마다 한 번씩 1주일간 열리며 물관련 국제기구, 각국 정부 부처, 지자체, 기업, 전문가, 시민단체 등 3만명 이상이 참석해 100여개에 이르는 물 관련 현안을 논의하는 대규모 국제 행사다. 우리나라는 2015년 7차 포럼 유치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7차 물포럼 유치전에 뛰어든 지자체는 대구·경북을 비롯해 수원, 강원 춘천, 인천 등이다. 지자체 관계자들은 “물포럼을 유치하면 1500억원에 이르는 생산 부가가치 창출효과는 물론 7000~8000여명 고용창출도 기대된다. 또 물 관련 기업 투자 유치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구·경북의 경우 현재 20여명의 물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대구·경북 세계물포럼 유치위원회에서 대구·경북 유치 타당성 및 전략이 담긴 유치 의견서를 작성해 국토해양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또 동네우물 300개 만들기 프로젝트에 착수했으며 대구창업투자와 물 산업을 지역 연계산업으로 특화하는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코오롱과 웅진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물기업이 많은 점도 강조하고 있다. 물포럼 유치에 필요한 회의공간, 숙박시설, 교통 접근성 등의 인프라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경기 수원시도 유치 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유치를 위해 세계물위원회 집행이사 도시 진출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나아가 아시아태평양 기후변화 파트너십(APP), 국제환경계획(UNEP) 등 환경 관련 국제기구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시는 물포럼을 유치함으로써 환경도시로서의 이미지를 확인시키고 시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 등 지역 관광자원을 홍보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강원도 춘천시는 지난해 12월8일 ‘세계물포럼 유치 의의와 강원도의 역할’이란 주제로 전문가 포럼을 개최하는 것을 시작으로 유치 준비를 본격화했다. 특히 2005년부터 춘천국제물포럼을 매년 개최하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는 어느 자치단체보다도 물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주장하고 있다. 춘천시 관계자는 “2015년 세계물포럼 유치를 위해 다양한 유치방안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은 지난해 개최한 세계도시물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점을 내세우고 있다. 당시 포럼에서는 ‘인천 물선언’이 발표돼 인천을 중심으로 세계 물문제를 논의하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자평하고 있다. 또 지난해 환경부 주관 물관리 종합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에 선정되었으며 올해는 물시범 도시로 뽑혔다. 시는 물수요종합관리태스크포스팀을 구성했으며 이 팀을 중심으로 세계물포럼 유치를 본격화한다는 전략이다.

전국종합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0-03-1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