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폐교 재활용 수백억 수입
수정 2010-04-09 00:52
입력 2010-04-09 00:00
매각 또는 교육기관으로
폐교된 학교는 비슬초등학교 등 11개교에 이른다. 지난 3월1일 폐교된 비슬초등학교는 달성공단테크노폴리스에 편입되면서 38억 6600만원을 받았다. 오설초등학교는 2006년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8억 200만원에, 신무분교와 능성분교, 매여분교 등 3개교는 1991년 동구청에 3억 8800만원에 각각 매각했다. 11개 매각대금은 65억 8600만원이다.
폐교의 부지와 건물을 자체 활용해 예산을 줄이는 사례도 있다. 1999년 폐교된 성서중학교에는 2004년 9월 장성초등학교가 들어섰으며 2000년 폐교된 도남초등학교는 대구예술영재교육원으로, 경운초등 감삼분교는 서부교육청 청사로, 복명초등학교는 동부교육청 청사로 활용하는 등 모두 6개 폐교가 교육기관으로 자체 활용되고 있다.
2007년 3월 폐교된 가창초등 우록분교, 현풍초등 현남분교 등 7개교는 대구시와 개인에게 임대형식으로 활용돼 연간 6800만원의 수입을 올리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지자체 등과 꾸준한 협력을 통해 폐교재산이 지역실정에 맞게 교육, 문화시설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0-04-0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