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곤충산업 집중육성
수정 2010-04-20 00:00
입력 2010-04-20 00:00
11일 전남 영암군 신북면 용산리 최영환(51)씨의 곤충 사육 농장. 3만여㎡의 곤충 산란장과 330㎡의 부화장을 오가며 애벌레의 상태를 살피느라 최씨의 손놀림이 바쁘다. 그가 사육 중인 곤충은 어린이들로부터 인기가 높은 장수풍뎅이 40만마리를 비롯해 물방개 5만마리 등 모두 10여종 수백만마리에 이른다. 장수풍뎅이는 인터넷 곤충몰과 할인마트·백화점, 문구점·완구점, 생태 교육장 등으로 수요처가 확대되고 있다.
그는 이 밖에 애완용인 사슴벌레, 사료용인 동애등에·오곡충(구더기),약용인 흰점박이 꽃무지,식용인 천우충(하늘소 유충) 등 일반인에게 생소한 각종 곤충과 호흡을 같이한다. 최씨는 “지난 20여년 동안 연구를 거듭한 끝에 지금은 종류별 습성과 먹이 등 생태를 파악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곤충 사육에 나서 연간 소득이 많을 때는 6억원에 이른다.”고 말했다. 연평균 순소득으로 치면 2억~3억원이다. 전통 농사로는 꿈도 꾸기 힘든 수준이다.
전남지역엔 이런 곤충사육 농가가 60여곳에 이른다. 최씨처럼 안정적 단계에 접어든 농가는 10~20곳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전남도가 오는 8월 곤충산업육성법 시행령 공포를 앞두고 곤충 분야를 지역의 새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키로 했기 때문이다.
19일 도가 곤충산업 육성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파악한 사육농가 실태조사에 따르면 함평·영암 등 8개 시·군 64개 농가에서 10여종의 곤충과 수서생물 등을 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23개 농가에 비해 3배가량 증가했다. 종류별로는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류, 나비류, 꽃무지 등 10여종이다. 이 중 애완·학습, 축제 등 행사용으로 90% 이상이 활용되고 있다. 꽃무지와 장수풍뎅이 유충 등 일부는 식·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곤충의 시장성이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파악했다. 이를 토대로 곤충산업의 비전, 육성방향, 투자계획 등이 포함된 곤충산업육성 종합계획(안) 수립에 나섰다. 이를 위해 곤충특화마을 5곳을 조성해 생산·체험·판매 등을 추진한다. 또 파리유충(구더기)에 동충하초 등을 배양하고 이것으로 항생제를 대체하는 천연 사료첨가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도 관계자는 “곤충을 단순히 기르고 판매하는 데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상품을 생산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며 “곤충 관련 연구와 개발에 필요한 사업비 30억원의 국고지원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0-04-2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