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정책 ‘헛바퀴’
수정 2010-05-01 00:54
입력 2010-05-01 00:00
지자체 출장용 구입 수백대 방치 주민들 반발로 도로공사도 주춤
충북도는 지난해 1월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하는 공무원에게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발표했다. 12개 시·군에 관련 조례를 만들어 추진할 것을 권고했지만 이 시책을 시행하고 있는 자치단체는 한 곳도 없다. 도 관계자는 “도보나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는 직원들과의 형평성 때문에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차없는 날’로 운영 중인 매월 둘째주 금요일을 ‘자전거타기의 날’로 병행 지정했지만 이 사실을 아는 직원들은 거의 없다.
지자체들이 구입한 출장용 자전거는 이용자가 적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증평군은 지난해 4월 출장용 자전거 20대를 구입해 각 실과에 1대씩 나눠줬지만 이용실적이 저조해 먼지만 쌓이고 있다. 관내 현장 방문시 출장용 자전거를 이용하겠다던 증평군의원들도 단 한차례 시늉만 내고는 자전거를 외면한 지 오래다.
광주시도 지난해 9000만원을 들여 자전거 890여대를 구입해 관내 5개 구에 나눠줬지만 역시 방치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자전거 인프라가 크게 부족해 자전거를 타고 출장을 가기는 사실 어렵다.”면서 “날씨가 따뜻해지면 이용자가 조금 늘 것 같다.”고 말했다.
제천시는 지난해 1월 기존 차로를 축소하는 ‘도로다이어트’로 시청~경찰서~장락교차로간 6㎞에 자전거전용도로를 만들겠다고 발표했지만 관계 기관들과 협의가 늦어져 지난달 겨우 착공했다. 그나마도 자전거 전용도로가 생기면 주차가 불가능해져 손님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는 상인들의 거센 반발로 실제 공사는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조차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상인들이 반발해 공사가 지연되고 있다.”며 “도로의 고저차가 심해 자전거도로가 활성화될지는 미지수”라고 했다.
부산시는 지난해 6월 온천천 둔치를 잇는 안락2동 남일중학~수영강 합류지점 간 400여m에 자전거도로를 설치할 예정이었으나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계획을 백지화했다.
청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지자체들이 경쟁하듯 자전거정책을 발표하고 있는데다 의지까지 부족해 차질을 빚고 있는 것 같다.”면서 “보여주기식 전시행정을 자제하고 좀더 실생활과 밀접한 자전거정책을 발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국종합 남인우기자 niw7263@seoul.co.kr
2010-05-0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