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하역노조비 터무니없이 비싸”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5-15 01:02
입력 2010-05-15 00:00
화물선에 실려 육지와 섬을 오가는 차량들에 대해 항운노조가 받는 하역 노조비(상선비)가 주민들은 물론 관광객들의 원성 대상이 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14일 백령도 주민과 화물선사 등에 따르면 5t 차량이 백령도에서 육지로 나갈 때 백령부두와 인천항에서 각각 3만 7000원의 노조비를 지불해야 한다. 백령도로 돌아올 때 또다시 인천항과 백령부두에서 3만 7000원씩을 내야 한다. 결국 왕복 시 네 차례에 걸쳐 내야 하는 노조비는 모두 14만 8000원. 승용차의 경우 왕복 시 네 차례에 4만 4000원을 내야 한다. 대청도나 연평도도 똑같은 노조비가 적용된다.

항운노조원들은 차량을 배에 싣고 내릴 때 대신 운전해 준다는 명목으로 돈을 받고 있으나 실제 대부분은 차량 소유주가 스스로 운전한다. 백령도에서 건설업을 하는 김모(56)씨는 “차를 배에 싣고 내릴 때 노조원들이 하는 일이라고는 손짓으로 안내하는 것뿐인데 터무니없이 비싼 하역료를 받는 이유를 모르겠다.”면서 “현대판 자릿세 갈취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백령부두하역조합’ 측은 연간 3600여대의 차량으로부터 7200만원의 노조비를 받는다고 밝혔다.

인천항에 있는 ‘연안노조’는 백령·대청·연평도 등 먼 섬뿐만 아니라 덕적·자월·이작·승봉도 등 가까운 섬으로 가는 차량으로부터도 비슷한 가격의 노조비를 받는다. 연안노조 측은 노조비 수입을 밝히지 않았다.

이 같은 현상은 연안 화물을 취급하는 연안항 노조가 항운노조 상용화 대상에서 제외된 데서 비롯된다. 지난 2007년 100년이 넘게 유지돼온 인천항의 독점적 노무인력 공급체계는 각 하역회사별 상시고용체계(상용화)로 바뀌었으나 연안항 노조의 경우 상용화 대상에서 제외됐다. 따라서 항운노조의 독점적 노무공급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이 그대로 지속되고 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0-05-1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