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물’ 가이드라인 만든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5-27 00:28
입력 2010-05-27 00:00

서울시, 용존산소·미네랄 등 표준기준 담아

서울시가 시민들 입맛에 맞는 물 공급을 위해 ‘맛있는 물’ 가이드라인을 만들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현재 생산 중인 수돗물 ‘아리수’를 안심하고 마셔도 좋다며 공급하고 있지만, 청사에서 일하는 직원들조차 꺼리는 물을 시민들에게 권장할 수 있느냐는 따가운 눈총을 받아 왔다.

따라서 ㈜한경국제전략연구소와 서울시립대에 맛있는 물 기준에 대해 용역을 맡겨 자체 개발하고 시민 여론조사 및 공청회를 거쳐 가이드라인을 만든 뒤 이에 걸맞은 물 생산에 힘쏟겠다는 것이다.

맛있는 물이란 일반적으로 물 냄새가 나지 않고 미네랄이 풍부하며 물 속에 녹아 있는 용존산소가 ℓ당 5㎎ 이상으로 충분해 마실 때 청량감을 느낄 수 있는 물을 말한다. 또 중금속 등 유해성분이 없고 4~15도 정도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서울시는 또 2012년까지 4973억원을 투입해 기존 수돗물 생산공정에 오존과 입상활성탄(숯) 공정을 추가하는 등 6개 정수센터에 첨단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하기로 했다.

영등포정수센터의 경우 이미 관련 시설이 설치돼 시운전 중이며 최종 수질시험을 거쳐 이르면 다음달 중 고도정수처리수를 강서·금천·구로구 일대 17만가구에 공급할 예정이다.

정수장에서만 하던 염소소독을 배수지, 가압장 등으로 확대하고 가정내 노후 수도관 교체를 위해 2015년까지 1058억원을 지원한다.

또 올해 안에 시내 100만가구를 대상으로 수도꼭지 무료 수질검사를 마무리하고 5700개 시내 어린이집 수질검사도 연 2회 정기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이정관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아리수의 패러다임을 ‘깨끗한 물’에서 나아가 ‘맛있는 물’로 전환한다는 의미”라며 “품질 수준에 걸맞게 시민들이 수질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도록 접근성과 투명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0-05-2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