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사활건 유치전
수정 2010-07-17 00:00
입력 2010-07-17 00:00
경남 밀양 유치를 추진하는 대구와 경북, 경남, 울산 등 4개 시·도는 다양한 전략을 들고 나왔다.
16일 대구시에 따르면 최근 김범일 대구시장이 지역의원들과 모임을 갖고 동남권 신공항의 명칭을 남부권 신공항으로 바꾸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는 신공항의 밀양 유치가 단순히 대구와 경북 경남, 울산뿐 아니라 광주, 전남, 전북, 대전 등도 접근성에서 크게 유리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다. 대구시는 경북 등 3개 시·도에 이 같은 사실을 통보하고 보조를 맞춰나갈 방침이다.
또 공동 홍보활동을 벌이기로 했다. 특히 홍보 대상에 영남 주민들은 물론 수도권 주민들도 포함시키기로 했다. 수도권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원-포트시스템(허브공항은 인천공항 한 곳이면 된다는 논리)에 대처하기 위해서다. 홍보물에는 동남권 신공항의 필요성, 밀양 유치의 논리적 타당성, 내륙공항인 밀양 후보지가 해상공항인 부산 가덕도에 앞서는 이유 등을 담는다. 또 주요 도시로부터 1시간 이내의 밀양 접근성,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데 따른 경제적·사회적 낭비 요인, 부산시가 주장한 김해공항 확장의 문제점 등도 상세하게 적시한다.
여기에다 입지 평가에 영향력이 있는 전문가 그룹을 일일이 만나 설득하는 홍보전도 병행할 계획이다
서명운동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이미 대구는 서명운동 참가자가 100만명이 넘어섰다. 4개 시·도는 영남권 주민들을 대상으로 신공항 밀양유치를 위한 1000만명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대구 등 4개 단체장들도 다음 주말쯤 경남 밀양시청에서 만나 정부에 밀양을 신공항 입지로 지정해 줄 것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반면 부산시는 가칭 ‘가덕도 동북아 제2허브공항’ 유치를 위한 범시민유치위원회를 20일 구성한다. 부산시는 세미나와 포럼 등을 통해 가덕도가 입지 환경 등 신공항 건설 조건이 밀양보다 우위에 있다는 홍보전을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동남권 신공항 입지평가위 구성을 마치고 19일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위원장을 포함해 20명으로 구성된 입지평가위는 국토연구원의 신공항 용역을 토대로 평가자료를 만드는 한편 공청회와 지자체의 의견을 수렴해 평가지침을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0-07-1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