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체계 구축” vs “실효성 떨어져” 시·군청사내 도의원사무실 논란
수정 2010-07-27 00:22
입력 2010-07-27 00:00

이에 따라 경주시는 이날 시청 2층 시장실 옆 30㎡에 4명의 지역 출신 도의원 등이 사용할 ‘도정 협력실’을 마련, 개소식을 가졌다. 개소식에는 최양식 시장을 비롯해 이상효 경북도의회 의장, 지역 출신 도의원 4명 등이 참석했다. 협력실에는 캐비낫과 소파, 책걸상, 전화기 등 각종 집기와 비품이 비치됐다.
예천군도 지난 22일 군청 청사 내 옛 시장개척단 사무실을 개조해 ‘군정 협력실(36㎡)’을 마련했다. 군은 군정 협력실을 도의원은 물론 출향인, 군민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며 군정 발전에 대해 토의 및 상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칠곡·군위·봉화군 등 도내 일부 시·군들도 조만간 시·군청 청사 내에 도의원들이 업무를 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제공할 계획이다.
앞서 포항시와 영주·영천시는 2001년과 2008년부터 각각 지역 출신 도의원들에게 청사내 20~50㎡ 규모의 사무실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경산시 등 일부 시·군은 도의원들에게 사무실을 제공하기엔 청사가 협소한 데다 업무 협조 등 실효성도 떨어진다는 이유로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자치단체장은 “청사가 협소해 당장 도의원들에게 사무실을 제공하는 것은 무리”라며 “이같은 문제가 해결되면 그때 가서 가서 검토해 볼 일”이라고 말했다. 도의원들에게 사무실을 제공하고 있는 지자체 관계자는 “도의원들이 2~3주 만에 잠깐씩 들렀다 가는 것이 고작”이라고 귀띔했다.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는 “도의원들이 기존 시·군의회 사무실을 활용해도 전혀 문제될 게 없다.”고 지적했다.
대구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0-07-2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