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자원봉사자 100만명 넘었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8-27 00:36
입력 2010-08-27 00:00

3년 만에 84.8% 늘어

서울시에 등록된 자원봉사자 수가 100만명을 넘어서 사회적 의식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6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발표한 ‘서울의 사회적 자본:현황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시에 등록된 자원봉사자 수는 2009년 말 기준으로 107만 365명을 기록했다. 2007년 1월 말 57만 9290명과 비교해 약 3년 만에 84.8% 늘어났다. 자원봉사 참여율도 2006년 12.8%에서 지난해 21.7%를 기록했다.

‘기부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시민도 2003년 33.5%를 기록한 이래 2006, 2007년을 제외하고 꾸준히 늘어 지난해에는 46.9%로 조사됐다. ‘타인이 평소 법을 잘 지키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시민은 2001년 29.1%에서 2008년에는 15.8%로 줄어 사회 전반의 준법수준에 대한 평가도 다소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5점 척도인 규범 유형별로는 2008년 기준 ‘차례지키기(3.5점)’에 가장 높은 점수를 줬고, 보행질서(3.2점), 공공장소 금연(3.0점) 순이었다. 반면 공공장소 정숙(2.6점)이 가장 지켜지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시 행정 청렴지수도 2000년 68.3% 이래 매년 향상돼 2008년 92.8%에 달했다가 지난해 89.1%로 하락했다. 서울 시민으로서의 자부심은 2007년 67.7점, 2008년 69.9점, 2009년 73점으로 나아졌으며, ‘서울을 고향으로 느낀다’는 응답은 2003년 65.1%에서 2009년 78.6%로 늘었다.

시정개발연구원은 다만 시민의 단체참여 유형이 동창 모임(46%), 친목회(44.7%) 등 비공식 네트워크에 편중된 데 반해 자원봉사단체(3.8%), 시민운동단체(0.9%), 정당(0.4%) 등 공적 연결망 비중은 낮다고 지적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참여를 늘리기 위해 서울시는 시민과 소통을 확대하고 시민단체는 시민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0-08-2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