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시장 올해도 비엔날레 바람
수정 2010-09-02 00:14
입력 2010-09-02 00:00
광주 대인·양동시장서 시민참여 문화프로젝트
1일 광주시에 따르면 대인·양동시장 등이 비엔날레·문화중심도시조성 사업 등에 맞물려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 사람이 몰려들면서 시장은 활력을 되찾고 있다. 이는 지난 ‘2008 광주비엔날레’ 때 동구 대인동 대인시장에서 ‘복덕방 프로젝트’를 펼치면서 시작됐다. 당시 대중과 친근한 작품들이 ‘시장’이란 삶터에 내걸리면서 큰 관심을 끌었다.
이어 임대료가 싼 빈 점포에 예술인들이 잇따라 몰려들고, 을씨년스럽기까지 했던 시장 내 옛 건물들이 창작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도예공방, 동양화실, 북카페, 국악연습실 등이 잇따라 문을 열었다.
대인시장은 특히 옛 전남도청 자리에 건립 중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500m 거리에 위치해 문화 관련 연계 프로그램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광주시는 이달부터 대인시장에서 ▲큰바위 얼굴 프로젝트 ▲시장 아카데미(시장대학)▲시민문화 창작소 ‘상상의 곳간’ ▲문화예술 보부상 경험장터 ▲만물 상회 ▲시장속 병원 ▲예술인 레지던스 등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3일 개막하는 올 광주비엔날레의 시민참여형 프로젝트도 재래시장인 서구 양동시장에서 펼쳐진다. 양동시장프로젝트는 시장 건물 옥상에 마련된 ‘어진관’이란 공간에서 이뤄진다. 관람객이 직접 참여해 벽에 낙서하고 그림도 그리는 프로그램이다.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양동시장사업단도 다양한 문화공간 육성에 나선다. 시장 옥상에 ‘양동문화센터’를 건립하고, 이곳에 시장의 대표 상품인 홍어를 특화한 ‘홍애 레스토랑’을 만든다. 특히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이 자국 음식과 각종 기념품 등을 판매하는 ‘다문화 행복 장터’를 마련했다. 이들 시설은 ‘2010 광주비엔날레’ 개막일인 3일 동시에 문을 연다.
양동시장사업단 김지원 단장은 “이 같은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 사업이 마무리되면 전통시장이 크게 활성화하면서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0-09-0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