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 ‘퇴비화’ → ‘건조화’로 대체
수정 2010-09-02 00:14
입력 2010-09-02 00:00
인천 잇단 악취 민원… 처리방식 용역 발주
현재 사용되는 퇴비화 사업은 악취가 심하고 퇴비가 된 음식물쓰레기도 별다른 쓰임새가 없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인천환경공단은 1일 송도사업소 폐기물소각장에서 시행 중인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사업을 다른 처리방식으로 바꾸기 위한 용역을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인천환경공단 관계자는 “도심지에 적합치 않은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사업에 대한 재검토”라며 “악취문제가 있는 것은 물론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퇴비가 현재로선 쓰임이 별로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할 것이지만 건조공법에 의한 사료화가 최적이라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인천환경공단 송도사업소가 운영 중인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시설은 음식물쓰레기와 톱밥을 물과 섞어 발효시켜 퇴비를 만드는 것으로 2000㎡의 발효조를 가동해 2300t의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다.
36일간 1차 발효 및 후숙기간을 거쳐 퇴비로 만들어지는데 악취가 심해 인근 주민들은 물론 공단 내에 조성된 야구장 등 운동시설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또 이렇게 각종 민원을 감수하면서까지 만들어진 퇴비는 적당한 수요처가 없어 중간처리업자가 무상으로 가져가는 실정이다.
반면 경제자유구역인 청라지구에 위치한 음식물자원화센터는 인천 서남부지역에서 발생하는 하루 100여t의 음식물쓰레기를 모두 건조시켜 사료로 만들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사료는 대부분 관련업자들에게 판매되고 있다. 때문에 악취문제를 안고 있으면서도 실효성이 없는 퇴비화보다 건조화를 통한 처리가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0-09-0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