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폐합 동주민센터 86곳 편의시설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9-20 00:18
입력 2010-09-20 00:00
서울시는 지난 1년간 동주민센터 통폐합을 통해 98개를 폐지하고 이 중 74개 청사를 도서관과 보육시설 등으로 전환했다고 19일 밝혔다.

또한 전환을 준비 중인 12개는 대부분 내년 4월까지 리모델링 공사를 마칠 예정이고, 나머지 12개 동주민센터만 재개발 등으로 없어졌다.

시는 폐지된 동주민센터를 리모델링해 사회시설을 만듦으로써 같은 규모의 건물을 신축할 때에 비해 3000여억원의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를 봤다고 설명했다. 74개 청사는 복합시설(153개)로 54개는 자치회관으로, 46개는 도서관과 문고, 21개는 복지시설 등으로 변신했다.

또 통폐합에 따른 여유인력 729명을 자치구별 실정에 맞춰 재배치해 인력부족 문제를 일부 없애는 데 기여했다고 서울시는 덧붙였다.

3월 개관한 미아9동 ‘작은 도서관’은 1만 2000권의 장서를 갖추고 하루 평균 220명의 주민을 맞이하고 있으며, 6월 문을 연 관악구 난곡보건분소는 보건소 기능 외에 장애인을 위한 치과 진료와 영양상담까지 하며 장애인의 호응을 얻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는 발산2동 내발산문화센터, 답십리2동 청소년독서실, 장안3동 마을문고, 홍은1동 보건소지소 등이 개관된다. 내년 상반기에는 상계6동 노원평생학습관, 장안2동 어린이도서관, 월계4동 월계헬스케어센터 등이 문을 연다.

정효성 서울시 행정국장은 “폐지된 동주민센터가 보육시설이나 도서관 등 주민의 생활편익공간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1차 전환 이후 이용률이 떨어지는 시설을 어린이집으로 재전환하길 희망하면 전환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0-09-2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