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재료 납품업자 ‘대면 접촉’ 없앤다
수정 2010-10-05 01:24
입력 2010-10-05 00:00
일선 학교 계약 담당자와 납품업자가 직접 만나 계약을 맺는 수의계약이 급식 식자재 납품 비리의 가장 큰 원인이라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내년부터 모든 학교가 전자조달을 통해 급식용 식자재를 구매하도록 하는 방안을 농수산물유통공사와 추진하고 있다.
경남에서는 지난 6·8월 학교급식 식자재 수의계약을 하는 과정에서 교장과 행정실장, 영양교사 등 316명이 업자로부터 현금이나 선물세트 등을 받은 혐의로 경찰에 적발됐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일선학교의 식자재 구매과정에서 수의계약이 30%를 차지해 여전히 급식비리 가능성이 도사리고 있다. 지난달 말 현재 경남지역 초·중·고등학교 953곳 가운데 660여곳이 공개경쟁으로 식자재를 구매하고 나머지 290여개 학교는 수의계약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 소액 수의계약 운영지침에는 1000만원 이하의 물품(식자재)은 1명의 납품업자와도 수의계약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급식납품업자가 결재권자인 교장과 계약 담당자인 행정실장만 잘 통하면 수의계약을 따낼 수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농수산물유통공사와 이달 안에 전자조달 MOU를 체결할 예정이며 식자재 전자조달을 하게 되면 학교 관계자와 식자재 납품업자의 대면 접촉기회가 사라져 비리소지가 없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창원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0-10-0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