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농가에 ‘트위터’ 열풍
수정 2010-10-12 00:40
입력 2010-10-12 00:00
김천·경산·영주 등 농산물 판매·홍보교육
김천시는 최근 이틀간 농산물 전자상거래 홈페이지 운영 농가 60명을 대상으로 트위터 활용 방법에 관한 교육을 실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어 오는 연말까지 농업인 150명을 대상으로 추가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경산시도 지난 4월 전자상거래 농업인 15명에게 트위터 교육을 해 호응이 일자 오는 25일부터 20명 추가 교육에 나선다.
성주군과 고령군도 올들어 각각 농업인 35명, 42명을 대상으로 각각 트위터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영주시도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사이버 농업인 21명을 대상으로 트위터와 블로그를 활용한 농산물 홍보 요령을 교육했고, 경북도의 농민 리더 양성 교육기관인 ‘경북농민사관학교’는 내년부터 트위터 교육을 공통 과정에 포함시킬 계획이다.
이처럼 도내 지자체들이 농업인을 대상으로 트위터 교육에 적극 나선 것은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농산물 정보를 얻거나 안전한 먹을 거리를 확보하려는 소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성주군의 트위터 1기 과정을 수료한 오광순(39·여·벽진면)· 김미정(40·여·대가면)씨는 최근 트위터를 활용한 농산물 홍보 및 판매로 재미를 톡톡히 봤다.
오씨는 “올해 트위터를 통해 참외 5㎏짜리 100박스를 판매했으며, 가격도 공판장에 내는 것보다 1.5배 정도 더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씨는 “트위터를 공부하면서 재미삼아 완숙 토마토 판매 안내문을 올렸더니 즉시 사겠다는 연락이 와서 5㎏짜리 80박스를 한꺼번에 판매하는 쾌거를 이뤘다.”고 말했다.
때문에 트위터의 위력을 맛본 이들은 트위터를 이용해 자신의 농업정보를 소비자와 공유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해 수확 과정과 선별과정, 택배를 위한 철저한 포장 방법까지 실시간으로 소비자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농촌도 이제 인터넷 시대를 넘어 스마트폰과 트위터로 새로운 희망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0-10-1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