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유급 보좌관제 포기?
수정 2010-11-02 00:00
입력 2010-11-02 00:00
시의회는 1일 편법 논란이 일었던 ‘의정 서포터즈’의 급여를 내년 예산에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의회는 그러나 전국 의장단과 연대해 유급 보좌관제 도입을 위한 입법 활동에 나서기로 해 귀추가 주목된다. 시의회 의장단은 모임을 갖고 내년도 보좌관들의 급여 예산을 세우지 않는 대신 의원들의 활발한 입법 활동을 위해 유급 보좌관제 도입을 추진키로 했다.
시의회는 현재 전체 의원 26명 중 20명이 유급 보좌관을 두고 있으며, 사비로 보좌관 월급을 주고 있다.
의회는 최근 보좌관들에게 급여를 주기 위해 내년도 본예산에 ‘의정 서포터즈’ 시범 운영 명목으로 6억 4300만원을 편성해 줄 것을 집행부에 요청했다. 그러나 집행부가 “법적인 근거가 없다.”며 난색을 표시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시의회는 시가 예산을 마련해주면 광주발전연구원에 ‘광주시의회 의정 서포터즈 시범운영 및 제도화 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하고, 연구원은 시의원 보좌관을 임시 연구원으로 채용해 의원 사무실에 파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서울시의회가 지난 2007년부터 운영해 온 방식으로 최근 감사원으로부터 시정 권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0-11-0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