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임실·완주군과 물 분쟁
수정 2010-11-04 00:26
입력 2010-11-04 00:00
전주시는 진안 용담다목적댐에서 양질의 생활용수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접 지역인 임실군과 완주군에서 하루 3~4만여t의 물을 공급받고 있다. 광역 상수도보다 물값이 싸고 대성정수장을 폐쇄하기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인접 자치단체는 전주시가 약속한 사용 기한을 넘기면서까지 상수도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것은 신뢰를 잃은 행정이라며 취수 중단과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사용 기한이 올해 말인 방수리 취수장의 경우 임실군이 추가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해 비상이 걸렸다.
임실군은 “하루 2만 5000t의 방수리취수장 물이 전주 지역 수돗물로 공급되면서 하천 유지용수 부족으로 생태계가 파괴되고 농업용수와 공업용수가 부족해지는 등 각종 문제를 낳고 있다.”고 불허 배경을 설명했다.
임실군의 강경한 태도에 전주시는 바짝 긴장하고 있다. 방수리취수원을 사용하지 못하면 당장 전주시 내 평화동과 동서학동 등의 주민 8만여명이 수돗물을 공급받지 못하는 혼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전주시는 상수원을 용담댐 물로 바꾸기로 한 협약을 어겼다는 지적에 대해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데다 효율적인 물 사용이라는 측면에서도 서두를 사안은 아니었다.”며 느슨한 대처를 시인했다.
완주군도 수질이 떨어지고 수량도 많지 않은 상관수원지를 상수원 보호구역에서 폐지해 달라며 10여년째 전주시와 갈등을 빚고 있다.
완주군은 1925년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상관수원지는 이미 수원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며 이를 해제해 주민들의 재산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급기야 상관수원지 해제 문제가 전주·완주 통합 논의에서 가장 큰 이슈로 등장하기도 했다. 전주시는 상관수원지를 폐쇄하기 위해 환경부에 폐지승인신청을 제출, 빠르면 내년쯤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 절차에 들어갈 계획이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0-11-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