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고장 인재 산실] 성남 분당구 이우학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11-09 00:50
입력 2010-11-09 00:00

농사·목공일 등 4~5년간 숙달 입시교육 탈피한 배움 공동체로

“아이들에게 우리 교육은 무엇이 되어야 할까?” 경기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에 위치한 이우학교는 학원식 입시 위주의 학교교육을 과감히 탈피한 대표적 ‘혁신학교’다. 공부가 아닌 배움을 강조하고 또 배움공동체를 강조한다.

대안학교이면서 경기도교육청 지정 혁신학교인 이우는 2003년 9월 문을 열었다. 노동운동을 거친 정광필 교장의 사회개혁이 학교 설립으로 승화됐다. 중학교 9학급 180여명, 고등학교 12학급 230여명의 학생들이 50여명의 교사들과 배움의 공동체를 실천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대안학교이면서 경기도교육청 지정 혁신학교인 이우학교 교실에서 한 교사가 다양한 머리 스타일과 차림새의 학생들에게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강의하고 있다.
대안학교이면서 경기도교육청 지정 혁신학교인 이우학교 교실에서 한 교사가 다양한 머리 스타일과 차림새의 학생들에게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강의하고 있다.
●개교 전 7년간 교육개선 연구

이 학교는 지역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 기숙사를 짓지 않았다. 그래서 학생들은 아무리 멀어도 통학을 한다. 대부분 버스를 이용한다.

교복도 없다. 물론 머리 길이 제한도 없고, 휴대전화도 소지할 수 있으나 수업시간에는 알아서 꺼놓는다. 얼마 전 경기도교육청이 처음 시행한 ‘학생인권조례’를 이우학교는 일찌감치 시작한 셈이다.

교육 방식도 큰 차이를 보인다. 개교하기 전 무려 7년여 동안 기존 교육과정의 틀과 기존 교과서의 틀에 매이지 않기 위한 사전 준비과정을 거쳐 교육 개선을 위한 ‘수업연구회’가 만들어졌다. 무얼 가르치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배우느냐에 중점을 둔다. 아이들이 깨어나도록, 스스로 배울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꾸몄다. 당연히 탐구학습이 주를 이뤘고 곧바로 효과를 보기 시작했다. 아이들이 활기차지고, 개성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내년부터 토요일은 교과 전일제 수업을 할 예정이다. 일반학교의 경우 사실 놀토를 뺀 첫째·셋째 토요일 수업은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 등으로 대충 채우고 시간 때우기식 수업을 하지만 이 학교는 역발상으로 교과전일제 수업을 한다. 수업내용이 길어지면 1박2일이 될 수도 있고, 금요일부터 2박3일 수업도 할 수 있다. 무엇을 하더라도 제대로 하자는 취지다. 아이들 내면의 힘도 키우고 삶의 변화와 실천을 배우게 한다.

이우학교 고교생들은 그동안 NGO, 인턴십, 진로탐구, 농사, 목공 등을 4~5년간 계속해 왔다. 일이 숙달도 됐지만 도전의식과 극한 체험, 공공성을 첨가해 새로운 변화도 보였다. 목공은 단순 목공이 아닌, 사회에 기여하는 목공을 하고, 공공미술도 사회시설 환경개선 등 공공성을 강조했다.

●내년부터 토요일 ‘교과전일제’ 실시

정광필 교장은 “우리는 학생들의 다양성을 추구합니다. 따라서 잘난 놈, 못난 놈, 있는 놈, 없는 놈, 범생이, 삐딱한 놈 골고루 뽑습니다. 문제는 어려운 상황에서 함께 풀어 나가는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

학교는 설립 취지에 동감하는 분들의 기탁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 도교육청에서 재정지원 결정이 나 올해부터는 일반 학교 수준의 등록금을 받고 있다. 성남시도 이우학교의 설립 취지를 받아들여 2년여 전부터 매년 수억원대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윤상돈기자 yoonsang@seoul.co.kr
2010-11-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