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아산시와 당진군 등 3개 시·군의 사업체와 종사자 수가 충남 16개 시·군 중 3분의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이들 서북부 지역은 사업체가 갈수록 늘어나 앞으로도 충남 산업화를 이끌 전망이다.
9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도내 10인 이상 광업·제조업체 수는 모두 2932개로, 이 가운데 천안시 967개(33%), 아산시 669개(22.8%), 당진군 200개(6.8%) 등 3곳이 62.6%를 차지했다.
종사자 수는 전체 18만 3534명 가운데 천안이 5만 9876명(32.6%), 아산 5만 7849명(31.5%), 당진 1만 3661명(7.4%)으로 3곳이 71.5%에 이르렀다. 이들 3개 시·군 외에 충남에서 종사자 수가 1만명을 넘는 곳은 서북부 지역에 해당하는 서산시(1만 417명)뿐이다.
반면 계룡시의 사업체는 7개에 불과하고 태안군도 15개에 그쳐 대조를 보였다. 종사자도 계룡시가 142명, 태안군이 223명에 머물렀다.
서북부 지역의 급성장에 힘입어 충남의 사업체는 2008년에 비해 1.6%인 46개, 종사자는 4.2%인 7381명이 각각 늘었다. 같은 기간 0.7%와 0.1%가 감소한 전국의 사업체와 종사자 수에 비교해 대조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출하액도 지난해 129조원을 기록, 전년보다 14.1% 늘어난 16조원으로 전국의 평균 증가폭인 1.2%에 비해 큰 격차를 보였다.
업종별로 보면 식료품 13.3%, 기계장비 11.3%, 금속가공 11.1%, 자동차 10.4% 순이었고, 종사자는 전자부품 19.7%, 자동차 13.7%, 식료품 9.3% 순으로 나타나 첨단산업이 고용에 효자 노릇을 했다. 출하액은 전자부품 30.9%, 화학제품 11.4%, 자동차 10% 순이다.
서북부 지역엔 당진 현대제철, 아산 삼성탕정단지 등과 같은 대기업들이 몰려 있다. 이는 핵심 시장인 수도권과 가깝고, 고급 인력 수급이 용이하고, 교통망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협력업체들이 대기업을 따라 주변에 포진하면서 산업화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게다가 국내 최대 철강단지로 성장하고 있는 당진군처럼 동종 업체들이 한곳으로 몰리는 ‘집적화 현상’도 한몫하고 있다고 분석된다.
충남도 관계자는 “수도권처럼 과밀화를 걱정할 정도는 아직 아니지만 지역 균형 발전 차원에서 낙후 지역으로 오는 기업에 더 많은 인센티브를 제시해도 서북부 지역을 훨씬 더 선호한다.”면서 “서북부 3개 시·군으로 기업이 몰리는 현상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0-11-1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