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년간 논의에만 그쳤던 광주 지역 자치구 간 경계 조정 문제가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됐다. 인구 10만여명인 동구와 30여만명인 서구가 2012년 국회의원 선거구 유지마저 어려울 것으로 점쳐지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강운태 광주시장과 5개 구청장은 최근 자치구 간 경계 조정 문제를 풀기 위해 간담회를 갖고 모든 참석자가 그 ‘필요성’에는 공감했다고 29일 광주시가 밝혔다.
그러나 세부적 문제 해결 방법 면에서는 각 구청장과 정치권의 이해 득실이 서로 달라 난항이 예상된다. 자치 구역과 인구 확대가 가장 시급한 자치구는 동구이다.
동구는 최근 도심 공동화 등으로 연평균 3000여명이 외곽 신도시 등으로 빠져나가면서 11월 현재 인구가 10만 2000여명(국회의원 선거구 유지 인구 10만 4000명)으로 줄었다. 이런 추세라면 2012년 총선 때 동구 지역구 국회의원 자리마저 없어질 것으로 점쳐진다.
이에 따라 동구는 북구의 ▲ 풍향동(인구 7866명) ▲두암 3동(2만 136명) 등 2개 동에 대한 편입을 줄기차게 요구해 왔다. 이들 2개 지역은 지난 1980년 북구 개청 당시 동구에서 편입된 지역으로 역사와 문화를 공유해 온 곳으로 꼽힌다. 동구가 이들 지역을 편입할 경우 인구 13만~14만명을 유지해 국회의원 지역구와 각종 보조금 지원 체제를 유지할 수 있다.
서구 역시 현재 갑·을로 나뉜 국회의원 지역구가 인구 상한선인 31만 4000여명보다 적은 30여만명에 불과하다. 이대로 방치할 경우 다음 총선 때는 국회의원 수를 2명에서 1명으로 줄여야 할 판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현재 인구 47만여명으로 가장 규모가 큰 북구의 일부를 동구와 서구에 편입시키는 방안을 두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구는 ‘자기 땅’을 다른 구로 편입하는 것과 관련해 해당 주민들과 지역 정치권의 반발 등 정치적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실제로 2006년 동구가 상당한 인센티브를 약속하며 풍향동 등 북구 일부의 편입을 요구했으나 해당 지역민들의 반발로 무산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