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팔공산 갓바위’ 명칭 재개정 무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1-25 00:00
입력 2011-01-25 00:00

“지역명 ‘경산’ 빼달라”… 대구·동구 요청 거부당해

대구시와 동구청이 ‘정성껏 빌면 소원 하나는 반드시 들어 준다’는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보물 제431호·일명 갓바위)’의 명칭 재개정을 문화재청에 요청했으나 결국 거부됐다.

이미지 확대
문화재청은 24일 “최근 대구시와 동구청이 지난해 8월 개정된 ‘경산 팔공산 갓바위’ 명칭에서 경산이라는 지역명을 빼고 ‘팔공산 갓바위’로 명칭 재개정을 요청한 데 대해 ‘불가’ 사실을 공문으로 통보했다.”고 밝혔다.

“문화재청과 문화재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변경한 ‘경산 팔공산 갓바위’ 명칭을 재개정할 경우 문화재 행정의 신뢰성 저하는 물론 국민들에게 혼란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팔공산 갓바위로 명칭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관보에 지정 예고하고 이를 같은 해 7월 7일 대구시에 통보했으나, 아무런 이견이 없어 예정대로 명칭을 확정해 관보에 고시했다.”고 덧붙였다.

명칭 변경은 국가지정동산문화재(국보·보물)의 혼란을 막기 위해 475건의 문화재 명칭 앞에 소재지 행정구역을 붙이기로 한 데 따른 것.

그러나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갓바위 집단 시설의 상인들은 지난해 말부터 “명칭 앞에 붙어 있는 ‘경산’이란 말을 빼 달라.”며 크게 반발해 왔다.

대구시와 동구청도 뒤늦게 재개정을 요구했지만 끝내 무산됐다. 이로써 올해 ‘대구 방문의 해’와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통해 갓바위를 중심으로 한 팔공산을 대구 관광 자원으로 적극 홍보하려던 대구시의 계획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경산 팔공산 갓바위 명칭 재변경은 장기적으로 검토돼야 할 과제”라고 여운을 남겼다.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산44에 있는 ‘경산 팔공산 갓바위’는 연간 1200만명의 관광객이 찾는 대구·경북 지역 명소다.

대구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1-01-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