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경전철 도시이미지 제고 우선 고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1-26 01:40
입력 2011-01-26 00:00

제주발전 연구원 제안

제주도가 도입을 추진 중인 ‘노면전차’(트램)의 노선 길이는 10㎞ 내외가 적합하고 운영은 자치단체가 맡아 노면전차와 버스를 공동 운영하는 가칭 ‘제주공공교통공사’를 설립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제주발전연구원은 25일 ‘제주도의 철도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제주의 경량전철 도입은 다른 도시의 ‘보조교통수단’에서 벗어나 도심 재생 및 교통체증 완화, 대중교통 활성화, 관광도시 이미지 제고 등의 요인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가장 합리적인 방안으로는 ‘10㎞ 내외의 노면전차’ 형식을 제시했다.

운영은 공공이 주체가 되고 재원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공동으로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시민들의 교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면전차와 버스 및 공공자전거 연계를 위해 가칭 ‘제주 공공 교통공사’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노선 1안은 제주시 옛 도심을 연결하는 9.1㎞로 도심 활성화와 교통 혼잡 개선, 도심 매력도 향상 등을 장점으로 꼽았다.

2안은 서귀포시내를 연결하는 7.7㎞로, 한라산과 바다를 연결하는 관광 구간이다. 제주혁신도시가 조성되면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3안은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를 순환하는 4.9㎞로 중문관광단지 활성화 및 회의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앞서 제주도는 지난해 11월 ‘제주형 신교통수단 도입 사전 타당성 조사 연구 용역’을 발주했으며 최종 보고서는 5월쯤 나올 예정이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11-01-2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