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보금자리주택 선수촌 활용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2-08 00:46
입력 2011-02-08 00:00
인천 구월지구 보금자리주택이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선수단과 미디어 관계자들이 머물 선수촌·미디어촌으로 꾸며진다.

예산을 아끼는 것은 물론 새로 선수촌을 짓지 않고 이미 계획된 주택사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어서 주목받고 있다. 더욱이 주택 미분양 걱정도 훨씬 덜하다.

인천시는 남동구 구월·수산동 일대 84만 1000㎡에 지을 보금자리주택 6068가구 가운데 4865가구를 2014년 9~10월 열리는 아시안게임 선수촌·미디어촌으로 이용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선수단 숙소는 2909가구, 지원단 및 미디어 관계자 숙소는 각각 405가구, 1551가구이다.

인천아시안게임에는 1만 3000여명의 선수·임원과 7000여명의 미디어 관계자들이 참가하게 된다.

구월지구 내 신설 학교와 근린공원에는 선수촌 식당과 대회 운영지원시설, 문화·쇼핑시설 등을 갖춘 7만 3000㎡ 규모의 ‘국제구역’이 조성된다. 또 3만 7000㎡의 장기임대아파트 부지에 ‘공공구역’을 조성해 선수수송센터와 안전지원센터, 출입관리사무실 등을 만들어 대회기간에 사용할 방침이다. 시는 오는 10월 구월보금자리주택단지를 착공, 2014년 6월까지 공사를 마치고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에 인계할 방침이다.

전용면적 85㎡ 이하인 보금자리주택에는 아시안게임 개최 이듬해인 2015년 3월 분양자들이 입주하게 된다.

시는 당초 서구 연희동에 건설될 주경기장과 가까운 공촌동 일대 48만 2000㎡에 선수촌 아파트 3000가구를, 가정동 26만 6000㎡에 미디어촌 1500가구를 지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 사업을 공동 추진할 예정이던 대한주택공사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 통합된 뒤 사업 포기를 결정하자 토지보상금 3158억원을 모두 시 예산으로 투입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시는 서구에 선수촌·미디어촌 아파트를 지어도 부동산경기 침체와 주변지역의 주택공급 과잉으로 미분양이 우려되는 만큼 구월지구 보금자리주택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1-02-0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